[디지털데일리 권하영기자] 통신사들이 5G 기반 스마트 의료 서비스를 주목하고 있다. 경쟁적으로 주요 의료기관과 손잡고 기술개발에 나섰다. 초고속·초저지연·초연결의 5G 시대에는 실시간 원격의료를 비롯한 디지털 의료가 꽃필 것으로 전망한다.
25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통신3사는 전국 주요 병원과 손잡고 5G 환경의 혁신 의료 서비스 구축에 나서고 있다. 주로 신축 병원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5G 통신망을 구축해 디지털화하는 것을 1차 목표로, 나아가 5G 기반 원격 의료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하는 게 2차 목표다.
통신사들이 속속 의료산업에 뛰어드는 이유는 5G B2B(기업간거래) 시장으로서의 잠재력 때문이다. 아직은 전국망 구축도 완료되지 않은 상태지만 향후 5G 통신이 보편화하면 스마트팩토리, 의료, 국방, 교육 등 B2B 시장이 통신사들의 새로운 수익처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5G는 앞으로 여러 산업 영역을 바꿀 수 있을 것이고, 의료 영역은 그중에서도 가장 많은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 분야”라면서 “당장은 수익을 논할 단계가 아니지만 나중에 중소 규모 병원까지 5G가 확대되면 시장이 확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KT, 5G로 의료진 간 협진 지원=KT는 이날 삼성서울병원과 함께 ‘5G 스마트 혁신병원’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 5G 기반 의료 서비스를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5G를 통해 의료진 간 진료 협업과 치료정보 확인 등을 실시간 원격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조성할 계획이다.
예를 들어 의료진은 대용량 데이터로 실시간 확인이 어려웠던 암 환자의 양성자 치료정보, 제한된 장소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 병리 조직 샘플 등을 5G 기반 병원 내 모든 장소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 5G로 전송된 수술 영상을 모니터링하고 서로 의견을 교환할 수 있게 된다.
◆LGU+, 5G+AI 스마트병원 AI-EMC 구축=LG유플러스는 을지재단과 2021년 ‘5G 기반 인공지능 스마트병원(AI-EMC)’을 개관한다. 지난 10일 관련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병원 공간 설계 단계부터 5G 인프라를 조성하기로 했다. 향후엔 AI 알고리즘, 빅데이터 분석, 로봇 서비스를 고도화해 의료 현장에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AI-EMC에는 정밀의료서비스 구현을 위한 AI 솔루션, 의료진 위치기반 솔루션이 적용된다. 또 실감형 원격 면회를 가능하게 하는 VR 병문안,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VR 힐링, 사물인터넷(IoT) 병실을 만들어 편리한 병원 환경을 구축한다.
◆SKT, AR·VR·홀로그램으로 병원환경 고도화=SK텔레콤은 연세대의료원과 손잡았다. 오는 2020년 개원하는 용인세브란스병원을 ‘5G 디지털 혁신병원’으로 구축하기 위한 협약을 지난 4월 체결했다. 향후 5G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AI, AR, 홀로그램 등 신기술을 병원 내 대거 적용할 방침이다.
예컨대 SK텔레콤 음성인식 스피커 ‘누구(NUGU)’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주변 기기를 조작하거나 위급상황 시 간호사와 통화할 수 있도록 활용한다. 또 병원 내 위치 측위와 3D 매핑을 통한 AR 내비게이션, 격리병동 환자를 홀로그램으로 병문안할 수 있는 솔루션도 적용된다.
보안도 대폭 강화한다. 민감한 의료정보가 해킹되지 않도록 세브란스병원-강남세브란스병원-용인세브란스병원 간 양자암호통신 솔루션을 적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또 의료진 대상 안면인식 출입통제 시스템도 도입된다. 비접촉식이어서 감염 위험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한편, 아직 갈 길이 먼 부분도 있다. 규제다. 의사와 환자 간 원격진료는 규제 장벽에 막혀 있다. 그래서 통신사들이 추진하는 5G 기반 원격의료도 아직은 의료진 내에서 수술 영상을 모니터링하거나 대용량 진료 데이터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통신사 입장에선 아직 5G 의료 시장에서 실제로 수익을 기대하기가 어렵다”면서 “법적 제도나 규제 문제가 풀리는 것이 먼저”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