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김도현기자] LG화학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핵심물질 발광층의 성능 개선에 나선다. 미국 소재기업 유니버설디스플레이(UDC)와 손을 잡았다.
4일 LG화학(대표 신학철)은 UDC와 차세대 OLED 발광층 개발에 대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LG화학은 “자사는 발광층 원재료 중 강점을 가지는 저전압·장수명 호스트를 UDC는 고효율·고성능의 인광 도판트를 서로 제공한다”며 “두 물질간 최상의 조합을 찾아내고, 궁극적으로 특정 고객사를 위한 최고의 고색재현 성능을 갖춘 제품을 개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OLED는 전자(-)와 정공(+)이 움직이는 공통층, 실제 빛을 발하는 발광층 등 여러 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발광층은 공통층에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해 빛을 내는 핵심물질이다. 특정 색을 발광하는 도판트와 도판트가 빛을 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호스트라는 재료로 이뤄진다.
LG화학이 개발해온 호스트는 낮은 전압에서도 전하 수송이 가능, 수명이 우수하다. UDC의 인광 도판트는 뛰어난 효율, 고색재현, 장수명이 특징이다. 두 물질이 결합할 경우 발광층의 고색재현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LG화학 첨단소재사업본부 유지영 부사장은 “각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한 두 회사가 협력하는 만큼 시너지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며 “OLED 시장 확대에 발맞춰 고색재현 성능이 대폭 향상된 발광층을 생산해 고객에 적시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OLED 물질 시장은 올해 10억3800만달러(약 1조2563억원)에서 2022년 12억95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도현 기자>dobest@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6G 상용화 이전 'AI 네트워크 구현' 위한 지원 필요”
2025-04-17 20:30:56티캐스트, 콘텐츠 자체제작 중단…“제작팀 해체 등 비상경영체제 돌입”
2025-04-17 18:04:05[IT클로즈업]‘미키17’로 재점화된 영화계 홀드백 문제...레거시의 단순 몽니일까?
2025-04-17 15:04:48CJ메조미디어, 디지털광고 특화 AI 어시스턴트 ‘앤써’ 출시
2025-04-17 10:40:40뉴 아이디, 현대자동차와 차량 내 FAST 서비스 출시
2025-04-17 10:23:24"공개일 유출 의혹에 미정이라더니"…디즈니+, '나인퍼즐' 5월21일 공개
2025-04-17 18:06:10무신사, 창립 첫 비상경영 돌입…"1분기 실적 내부 목표 미달"
2025-04-17 17:21:46민주당 게임특위, “등급분류 전면 개편·질병코드 대응 강화”
2025-04-17 17:20:29[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도배될까…오픈AI, 차세대 SNS 개발 착수
2025-04-17 17:15:44강유정 의원 “게임 과몰입보다 저몰입이 문제… 유저 목소리, 대선 공약 적극 반영”
2025-04-17 16:1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