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SK텔레콤 ‘누구’는 대한민국 안에선 최고의 인공지능(AI)이 될 것이다. 대화형 사용자환경(UI)이 중요하기보다는 이를 바탕으로 한 서비스가 중요하다. SK텔레콤은 통신 TV 쇼핑 등 가진 것이 많다. 모든 생태계를 합쳐 시너지를 내면 가능하다.”
24일 SK텔레콤 장유성 서비스플랫폼사업단장<사진>은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고 누구 생태계 확장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날 SK텔레콤은 이곳에서 ‘누구 컨퍼런스 2018’을 개최했다. AI 오픈 플랫폼 ‘누구 디벨로퍼스’를 공개했다. 애플리케이션(앱) 등에 음성인식을 붙일 수 있는 ‘누구 플레이 키트’와 사용자와 기기를 관리하는 ‘누구 비즈’로 구성했다.
장 단장은 “현재 AI 서비스는 20년 전 웹서비스 초창기와 비슷하다. 그때 다양한 포털서비스가 나왔다. 다 비슷하다고 어떻게 차별화할 것이냐는 지적이 나왔다. 지금은 시장을 주도하는 서비스와 몇 개의 나머지 서비스로 정리됐다. AI도 다양한 업체가 하고 있지만 다들 각자 효용에 따라 살아남을 수 있다. 다만 1~2개 영역은 승자가 생길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SK텔레콤이 장점을 갖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현재 한국어 AI는 통신사 제조사 포털사 등이 진행 중이다. SK텔레콤 KT 삼성전자 네이버 카카오 등이다.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등 해외 업체도 한국어 서비스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장 단장은 “한국어는 한국사람이 가장 잘 안다. 음성인식만 해서는 안 된다. 음성인식 이후 무엇을 제공할지가 관건이다. 외국 회사가 만든 서비스는 명절 외국인 모창대회 수준이다. 물론 해외 업체는 플랫폼이 잘 갖춰져 있어 무시할 수 없지만 결국 서비스 경쟁력이 핵심”이라고 국내뿐 아니라 해외 업체와 경쟁도 이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AI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인력난이다. 사람과 데이터가 경쟁력이다. SK텔레콤도 마찬가지다. 장 단장은 자연어 엔진 전문가다. 울프램 최고제품경영자(CPO), 삼성전자 헬스연구개발그룹 등을 거쳐 SK텔레콤에 올해 합류했다.
장 단장은 “AI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기술을 전공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자연어 처리는 국문학과 출신이 유리하다. 기술을 접목해 어떤 방향으로 이끌어갈지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했다. 또 “SK텔레콤은 기술을 사용하는 입장에서 기술을 혁신하는 입장으로 변하고 있는 회사다. 오랜 고객이 많아 데이터가 많고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