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형두기자] 풀러스, 럭시를 인수한 카카오모빌리티 등 국내 1세대 카풀 애플리케이션(앱) 서비스들이 택시업계와 여전히 합의를 보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2세대 승차공유 서비스가 속속 등장을 예고하고 있다. 1세대 서비스 대비 운영시간, 운영차량 등의 제한을 걸어 법적 시비를 최소화한 형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오는 10월 초 위츠모빌리티의 온디맨드 승차공유(라이드셰어링) 서비스 ‘어디고’가 오픈베타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시간은 오후 8시부터 새벽 1시까지 제한적으로 운영한다. 출퇴근 시간 논란을 만들지 않는 정공법이다.
위츠모빌리티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알고 있는 출퇴근 개념, 그 중에서도 출근시간 보다는 퇴근시간에 집중해서 운영할 계획”이라며 “드라이버 사전 모집에서도 하루 10~20번 운행하는 전업 드라이버 형태의 희망자는 배제했다”고 설명했다. 홈페이지에는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시간과 요일 제한이 없다’고 표기돼 있으나, 이는 향후 규제 완화를 염두에 둔 포석으로 풀이된다.
요금은 택시요금과 유사하게 책정됐으나 향후 우버처럼 탄력요금제 도입 여부를 고려하고 있다. 회사는 요금의 20%를 수수료로 가져간다. 지역은 서울에서 시작해 점차 전국으로 서비스를 확장할 예정이다. 기존 업체처럼 할인 쿠폰이나 인센티브로 단기간에 이용자를 끌어 모으는 전략은 쓰지 않을 계획이다. 프로모션 비용 지출이 커지면 특정 시간대 운영으로 수익을 내기 힘들 것으로 봤다.
보험 적용을 강화한 것도 기존 서비스와 차별점이다. 보험사와 별도 계약을 통해 사고 시 드라이버의 보험이 아닌 회사 보험이 적용되도록 했다. 보험 적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승차 서비스는 대리운전 명목으로 이뤄진다. 요금도 대리운전 이용에 대한 요금으로 지불, 정산된다.
규제 리스크나 기존 업계의 반발 문제의 불씨는 아직 남아있다. 회사 관계자는 “규제를 강화하려는 움직임도, 완화하려는 움직임도 있으므로 현재 시점에서 속단하는 것은 의미가 없을 것”이라며 “현재 시점에서 가능한 형태로 소프트랜딩(연착륙)이 목표”라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과방위원 만난 LGU+ 홍범식 “AI 국가대항전, 국회-민간 실질 협력 필요”
2025-04-15 11:00:00SKT·SK텔링크, 글로벌 최초 '기내 와이파이 자동 로밍 서비스' 출시
2025-04-15 10:36:49GS샵 “1분기 여행상품 상담 주문 20% 증가”…가정의 달 수요 선점 나선다
2025-04-15 10:21:50KT-업스테이지, 태국에 LLM 플랫폼 수출…AX 글로벌 확장 본격화
2025-04-15 10:16:05트럼프의 선물?... 애플, 관세 폭탄 피해 시총 3조달러 회복
2025-04-15 10:07:29이정헌 의원, 대선 앞두고 현장 소통…"과학기술인은 국정운영 동반자"
2025-04-14 18:28:20네이버는 법인세 3900억원 내는데 구글은 겨우 240억원
2025-04-15 14:21:47[현장] '대환장 기안장' 파워?…BTS 진 "태어나서 가장 많은 연락 받아"
2025-04-15 12:02:38황재호 민트로켓 대표 “韓 게임 창의성 없다고? ‘데이브’는 달라”
2025-04-15 12:02:11유니티 맷 브롬버그 CEO “유니티6.1, AI 에이전트 지원”
2025-04-15 12:01:49"캐릭터와 대화하니 원작 소비 쑥쑥"…네이버웹툰, AI 챗봇 시너지 확대
2025-04-15 11:00:55함저협, 영국 PRS·태국 MCT와 관리 계약 체결…"해외서도 저작권 보호"
2025-04-15 10:4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