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수환기자] SK하이닉스는 삼성전자나 웨스턴디지털(WD, 샌디스크), 도시바 등 경쟁사에 비해 낸드플래시 시장 진입이 늦었다. 진입장벽이 높고 설비투자(CAPEX)에 천문학적인 투입되는 반도체 산업에서 경쟁력 저하는 치명적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K하이닉스는 빠르게 연구개발(R&D)을 진행, 경쟁사보다 앞서 72단 3D 낸드플래시 개발에 성공했다. 코드명 ‘헤라클레스(Hercules)’로 이름 붙여진 72단 3D 낸드플래시는 이달에 512기가비트(Gb) 트리플레벨셀(TLC·3비트) 양산에 들어갔다. 칩 하나에 64GB 용량을 구현할 수 있어 직전 256Gb TLC보다 더 많은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다.
더불어 SK하이닉스는 컨트롤러 기술 내재화를 통해 솔루션 사업 경쟁력도 강화했다. 컨트롤러와 펌웨어를 개발한 것. 이에 발맞춰 셀 하나에 4비트의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쿼드레벨셀(QLC) 96단 3D 낸드플래시를 내년에 선보일 계획이다.
<이수환 기자>shulee@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심 해킹 SKT 유영상 대표, 30일 국회 과방위 청문회 출석
2025-04-29 15:54:45SKT “수습 역량 총동원…5월 내 유심 SW 변경 시스템 개발”
2025-04-29 15:01:02“정부부처 보안에도 빨간불”...국정원, 전부처에 유심교체 공문
2025-04-29 14:43:51과기정통부, SKT 침해사고 1차 조사결과 발표…"IMEI 유출은 없어"
2025-04-29 14:12:50SKT, 황금연휴 앞두고 비상…유심보호서비스 2.0 나온다
2025-04-29 10:45:09“SKT 해킹, 9.7GB 유출 가능성”…정보보호인증 제도 실효성 지적도
2025-04-29 10:44:36[현장] 이세돌 "바둑보다 데블스플랜이 어려워"…치열한 두뇌싸움 승자는?
2025-04-29 15:16:02SK스퀘어, 美∙日 차세대 기술기업에 1000억원 투자
2025-04-29 14:47:19문화사업 30주년 CJ ENM…"온리원 정신 되새겨 글로벌 원년 도약"
2025-04-29 10:50:08캐치테이블, 권재홍 전 배민 COO 영입…“요식업 슈퍼플랫폼 도약 본격화”
2025-04-29 10:46:23[일문일답] 네이버 멤버십에 넷플 추가했더니…"3040 男 닫힌 지갑 열렸다"
2025-04-29 10:4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