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렉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증산으로 내년 공급면적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4일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은 2018년 플렉시블 OLED 공급면적이 수요보다 44% 더 많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2018년 플렉시블 OLED 생산면적은 2017년과 비교해 두 배 수준인 440만㎡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달리 수요면적(240만㎡)은 2017년 대비 69.9% 늘어나는데 그칠 것으로 보인다. 전체 공급면적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는 의미다.
IHS마킷 강민수 디스플레이 담당 수석연구원은 “업체들이 플렉시블 OLED의 스마트폰 시장 침투 속도가 빠를 것으로 예상해온 것이 사실”이라며 “하지만 올해 스마트폰 브랜드 대부분은 원가가 높은 플렉시블 OLED를 사용한 엣지 스크린 대신, 액정표시장치(LCD)나 리지드(Rigid) OLED를 사용한 와이드 스크린(18:9 이상) 디스플레이를 택했다”고 설명했다.
6세대 플렉시블 OLED 생산원가는 6세대 리지드 OLED 생산원가보다 1.5배 더 높다. 와이드 스크린 스마트폰은 커브드 엣지 스크린에 비해 당분간 경쟁력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본 셈이다.
높은 원가로 스마트폰 업체들은 플렉시블 OLED 패널을 하이엔드 스마트폰 위주로 채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OLED 후발 주자는 제품 사양 및 요건을 맞추기가 더 어려워지고 있다. 강 수석연구원은 “이런 상황 때문에 플렉시블 OLED 후발업체들이 공장 가동률을 심각한 수준으로 낮춰야 할지도 모른다”고 덧붙였다.
<이수환 기자>shulee@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쇼핑엔티, 프리미엄 남성 패션 상품에 힘준다…獨 ‘골드파일’ 론칭
2025-04-28 14:57:30[현장] “SKT 유심오픈런, 3~4시간 기다려야”…T월드 홈피도 10만여명 대기줄
2025-04-28 11:17:15SKT 해킹 서버, 국가기반시설 아냐…최민희 "국가관리체계 전면 점검 필요"
2025-04-28 11:03:09SKT “해킹피해 발생시 100%책임…유심보호서비스 믿어달라”
2025-04-27 19:30:40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국제대회 ‘PGS 7’ 개최
2025-04-28 15:21:41[인터뷰] 크래프톤 장병규 “수년간 기른 선구안, ‘펍지’ 이을 메가 IP 노린다”
2025-04-28 12:00:00웹툰 '신의 탑' 외전 '우렉 마지노' 나온다…"28일 공개"
2025-04-28 11:08:14딜라이트룸, ICEIC서 호흡 분석 AI 모델 공개…"수면패턴 정밀 분석"
2025-04-28 11:08:03IPX, 美 세 번째 '라인프렌즈 스토어' 오픈…"K-팝 팬덤 어서 와"
2025-04-28 11:07:27‘마스터 시바’의 라멘 맛은?…롯데마트, ‘블루 아카이브’ 협업 라면 출시
2025-04-28 09:4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