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조치가 완화됨에 따라 외자판호 발급이 재개될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판호는 중국 정부가 발급하는 게임 서비스 허가권이다. 그동안 한국 게임엔 판호가 나오지 않아 중국 진출이 원천 차단됐었다.
이 같은 변화로 업계에선 기대감이 감돌아야 하지만, 한편으론 달갑지 않은 분위기도 감지된다. 한국 게임이 중국 시장을 뚫을 수 있을까하는 의구심 때문이다.
올해 들어 국내에서 이렇다 할 신작 마케팅 없이 인기를 끄는 중국 게임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콘텐츠 완성도와 입소문만으로 시장 진입에 성공한 것이다. 대규모 마케팅을 등에 업은 국내 게임들이 속절없이 밀리면서 다소 민망한 상황이 빚어졌다.
예전 중국 게임들은 노골적인 과금 유도에 결제한만큼 게임 내 혜택을 주는 계급제와 비슷한 VIP 시스템이 국내 이용자들의 거부감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그런데 지금의 중국 게임들은 어떤가. 오히려 국내 게임보다 결제 유도가 덜해 ‘착한 게임’으로 불리기도 하고 최근의 게이머들은 VIP 시스템도 익숙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중국 게임들이 ‘미소녀 게임’의 유행도 선도하는 모양새다. 내수 시장이 워낙 크다보니 다양한 장르에 대한 수요층이 존재하고 개발사들도 실험적이고 마니아들이 좋아할만한 게임들을 내놓는 곳이 중국이다. 여기에서 중국 게임 시장의 발전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최근엔 모바일게임 시장 대세가 된 자동조작을 채택하지 않고 수동으로만 플레이를 즐기는 중국 게임도 나왔다. 기존 성공 방정식에서 분명 벗어나는 게임인데, 국내에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당초 자동조작은 중국 웹게임에서 시작됐다. 화면터치 조작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모바일게임에 도입된 것인데, 이것도 중국 업체가 먼저 채택한 것을 국내 업체들이 뒤따라갔다. 그런데 중국에서 다시 유행을 거스르는 게임이 나온 것이다. 그만큼 새로운 시도가 잇따르는 곳이 중국이다.
앞서 언급한 상황들을 종합하면 한국 게임에 판호 발급이 재개된다해도 마냥 좋아할 것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중국 업체와의 개발수준 차이를 실감하게 되는 것은 아닐까하는 일말의 불안감 때문이다.
과연 한국 게임의 현주소는 어디쯤 있을까. 수적 열세는 잘 만든 몇몇 게임으로 극복할 수 있다. 중국 진출을 기다리고 있는 국내 업체들이 게임강국 코리아의 위상을 다시 세워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것이 기자의 욕심일지는 내년에 알게 되리라 본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알뜰폰 업계, 갤럭시S25 가입자 사전유치 경쟁 ‘후끈’
2025-01-19 13:16:35[OTT레이더] 김혜수의 팩트 폭행…디즈니+, '트리거'
2025-01-19 10:15:47[알뜰폰경쟁력강화방안]③전광훈도 적자…설비투자 여력있는 사업자는 ‘단 한 곳’
2025-01-18 08:14:00'갤럭시S25 슬림 vs 아이폰17 에어' 두께전쟁 예고
2025-01-17 17:46:11[DD퇴근길] 美 트럼프 취임식, '쿠팡'도 간다…'피지컬: 100', 제작사 바뀐다
2025-01-17 17:33:29'갤럭시S25' 건너 뛰고…'갤S26' 스택형 배터리 탑재 '솔솔'
2025-01-17 16:17:14넥슨, 삼성전자와 ‘카잔’ 3D 게이밍 경험 위한 기술 MOU 체결
2025-01-19 11:09:54[뉴겜] ‘발할라서바이벌’, 한 손으로 쉽고 빠른 액션 쾌감… 전략·성장도 "10분 만에"
2025-01-19 11:09:35“와, 먹어보고 싶네” 영상 하나로 누적 5만팩…‘유튜브 쇼핑’ 무서운 저력
2025-01-19 10:14:53[현장] 스노우메이지 매력에 ‘일시정지’… 강남 달군 던파 팝업
2025-01-17 17:33:0424시간 후 댓글창 폭파…말 많던 다음뉴스 타임톡, 이용자 불편 듣는다
2025-01-17 15:05:38[IT클로즈업] 분기점 맞은 K-게임, 신흥 시장이 해법될까
2025-01-17 1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