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최근 은행과 정부기관 등을 사칭한 가짜 사이트를 구축하고 이용자들을 유도해 금전을 탈취하는 금융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이용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보이스피싱, 피싱, 파밍 등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액이 5400억원을 넘어섰다.
연도별로는 2015년 2444억원, 2016년 1924억에 이어 올해는 상반기에만 ,037억원에 달하는 등 매년 1000억원 이상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금융사기에 따른 건당 피해액도 증가하고 있다. 2015년 건당 피해액은 423만원 수준이었으나 올해는 상반기까지 건당 470만원의 피해를 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최근 3년간 KISA가 차단한 피싱사이트는 1만7010건, 파밍사이트는 1만3192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피싱사이트는 2015년 6503건에서 2016년 4286건으로 감소추세였으나, 올해 8월까지만 6221건이 발견돼 다시 급증하는 추세다.
피싱(Phishing)은 금융기관 등을 가장한 이메일에 나와 있는 인터넷주소를 클릭하면 가짜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한 후 금융정보를 탈취해 범행계좌로 무단이체를 하는 수법이다. 파밍(Pharming)은 악성코드에 감염된 사용자PC를 조작해 금융정보를 빼내간다.
민경욱 의원은 “고전적인 보이스피싱 범죄와는 달리 정부기관이나 금융권 사이트를 정교하게 만드는 등 수법이 교묘해지고 빈도도 잦아지면서 피해 규모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며 “정부는 사이버 범죄 예방과 함께 강력 대응으로 금융범죄자를 일벌백계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참여연대 "불법 영업한 전광훈 알뜰폰, 사업자등록 취소해야"
2025-04-15 18:10:01과방위원 만난 LGU+ 홍범식 “AI 국가대항전, 국회-민간 실질 협력 필요”
2025-04-15 11:00:00리그오브레전드, ‘영혼의 꽃’ 테마로 새 단장… 신규 챔피언 ‘유나라’ 공개
2025-04-16 09:07:18[일문일답] CJ ENM "엠넷 30주년, 더 넓은 세계로 간다”…글로벌 전략은?
2025-04-15 19:20:07CJ ENM-애플TV+ 손잡는다…글로벌 음악 경연 프로그램 제작
2025-04-15 18:46:26CJ ENM·엠넷, 올해 30주년…‘글로벌 삼각 전략’ 본격 가동
2025-04-15 18:08:58"男 신병3·女 나는 솔로"…ENA, '젊은 채널' 이미지 굳힌다
2025-04-15 17:27:39[DD퇴근길] "세금 덜 내려 매출 축소?"…구글코리아, 법인세 회피 논란
2025-04-15 17: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