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넥슨의 핵심 개발자로 꼽히는 이은석 디렉터<사진>가 25일 성남시 판교 사옥 인근에서 개최된 넥슨개발자컨퍼런스(NDC) 기조강연을 통해 다소 재미난 주제를 꺼내 놨다.
그는 인공지능(AI) 시대에 게임산업의 변화를 예상하면서 ‘오메가고’라는 가상의 바둑 게임을 내세웠다. 이 디렉터는 당장 일어날 산업적 변화는 아니지만 AI 시대를 맞이할 게임업계에 화두를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다양한 개인적 견해를 밝혔다.
이 디렉터는 “알파고는 자신의 승리가 목표라면 오메가고는 상대의 즐거움이 목표”라며 “오메가고는 사람이 최선을 다했을 때 극적인 과정을 거쳐 아슬아슬하게 승리하는 결과를 유도한다. 재미를 위한 AI”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이 디렉터는 게임 진행 도중 인게이지먼트(몰입의 순간)를 측정하고 수집하는 과정을 소개했다. 뇌전도, 심박수, 호흡, 눈 깜빡임, 체온 등을 신체상의 변화를 측정해 이용자가 가장 몰입하는 순간을 데이터로 기록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빅데이터가 되고 AI가 학습을 거치면 최적의 순간에 AI가 몰입할 만한 상황을 이끌어내 “궁극의 바둑게임이 탄생할 수 있다”는 게 이 디렉터의 생각이다.
그는 AI가 자동 플레이와 함께 게임 테스트까지 진행하고 레벨 디자인까지 가능한 시대가 올 것도 예상했다. 저차원적인 수준이지만 지금도 이 같은 시도는 이어지고 있다. 저해상도의 2D사진을 고해상도의 3D텍스처 그래픽으로 만드는 기술도 개발돼 활용되고 있다.
이 디렉터는 “기존엔 수백명을 3D스캔해서 게임 속 행인을 만들었다면 이제는 사진만 수백장 있으면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향후 AI를 통한 개인별 맞춤형 콘텐츠도 즉석 제작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 경우 마인크래프트와 같은 절차적 콘텐츠가 생성되는 게임이 일대 변혁을 맞을 수 있다. 고도화된 딥러닝 기술이 동반된다면 시간이 지나는 것도 인지못할 만큼 깊게 몰입하는 게임이 나올 수 있다는 것도 그의 예상이다.
이처럼 AI가 가져올 게임산업의 장밋빛 미래도 있지만 우울한 전망도 존재한다. 일단 게임 개발팀 규모가 축소될 것이란 게 일반의 예상이다. 단순 코딩 작업은 AI로 대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디렉터는 “무인화를 앞당겨 노동기회가 감소될 수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또 그는 “패스트팔로어(선도 제품을 따라가는 전략)는 AI가 더 잘할 것”이라며 “뻔한 게임은 자동화가 잘 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한 대처로 이 디렉터는 기업 입장에서 ‘IP(지식재산)와 브랜드’를 만들고 개인적으론 “데이터화가 쉽게 이뤄져 기계로 대체되기 쉬운 일에서 벗어날 것”을 조언했다. 그는 “인공지능이 만능은 아니지만 큰 충격을 불러올 것”이라며 강연을 끝맺었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촉발된 'AI 저작권'…"법·정책 논의 필요해"
2025-05-20 17:15:02"JTBC 중계권 입찰 문제없다"…법원, 지상파 3사 가처분 기각
2025-05-20 16:47:18우주청, 위성정보활용협의체 실무자 교육…"공공서비스 적용 확대"
2025-05-20 16:08:37[NSIS 2025] SKT 해킹 충격…과기정통부, "새로운 정보보호체계 마련"
2025-05-20 15:37:44[NSIS 2025] SKB "양자기술 이용한 공격? 양자로 막는다"
2025-05-20 15:17:26크래프톤, 110억원 기부로 카이스트에 교육·연구 공간 건립
2025-05-20 18:15:20"폭싹 속았수다도 참여했는데"…韓 VFX 상장사, '적자 늪' 여전
2025-05-20 17:40:14카카오엔터 장윤중 공동대표, 빌보드 '2025 글로벌 파워 플레이어스' 선정
2025-05-20 17:15:13게임위, '발라트로' 등급 재결정…'청불'서 '15세 이용가'로
2025-05-20 16:41:29[NSIS 2025] 세일포인트 "보안의 중심은 이제 '아이덴티티'…권한 기반 보안 강조
2025-05-20 15:49:13‘크리에이터 전성시대’…1인 콘텐츠 넘어 이제는 플랫폼이 키운다
2025-05-20 15:3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