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세계 디도스(DDoS) 공격은 3826건 발생해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했다. 그 중 100Gbps넘는 대형 디도스 공격은 140% 늘었다. 4분기 최대 공격 규모는 517Gbps를 기록했고 2년 전 처음 등장한 스파이크(Spike) 봇넷에서 발생했다.
아카마이 인터넷 현황 보안 보고서 편집자인 마틴 맥키 수석 보안 전문가는 “보안이 취약한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공격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기업도 보안 투자를 확대해야 하며, 디바이스 보안이 강화될 때까지 시스템 취약점이 추가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언급했다.
상위 디도스 공격 발원 국가는 미국(24%), 영국(9.7%), 독일(6.6%) 순이었다. 특히 디도스 공격에 사용된 IP 주소 중 18만개 이상이 미국 소재였다 지난 분기 1위였던 중국은 4위(6.2%)에 올랐다. 4분기 가장 많이 사용된 디도스 공격 기법은 UDP 프래그먼트(27%), DNS(21%), NTP(15%) 순이었다.
웹 애플리케이션 공격 건수는 전년 대비 19% 감소했다. 웹 애플리케이션 공격 발원지는 미국(28%)이 지난 분기에 이어 1위를 차지했고 네덜란드(17%), 독일(9.2%), 브라질(5.5%), 러시아(4.7%)가 뒤를 이었다. 웹 애플리케이션 공격은 추수감사절 연휴 주에 대폭 증가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재명 1호 공약 실현한다…민주당 정보통신위원회, LGU+ 평촌메가센터 방문
2025-05-13 13:47:25SKT 1분기 설비투자, 3사 중 가장 적어…“정보보호 투자 소홀과 무관”
2025-05-13 11:55:30통신3사 ‘갤럭시S25 엣지’ 사전예약 실시…“SKT는 기기변경만”
2025-05-13 10:41:03LGU+·토스 협업, AI ‘익시’ 브랜드 행사에 180만명 참가
2025-05-13 09:41:49통신3사, 비용통제로 영업익 사수…“AI 수익 가시화 시동”
2025-05-12 18:54:16AI 사라진 SKT 컨콜, 2분기 어쩌나…“본원적 경쟁력 강화 집중”(종합)
2025-05-12 18:49:23던파·메이플·FC 활약 덕분에…넥슨, 올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2025-05-13 16:18:43스타트업 투자 한파, 네이버 D2SF가 본 해결책은? [일문일답]
2025-05-13 15:56:10[일문일답] 김홍선 감독 “액션도 멜로도 모두 담았다…‘탄금’ 새로운 사극의 탄생
2025-05-13 15:44:29[현장] 넷플릭스 '탄금' 관전 포인트?...정체 숨긴 이복남매 간 미묘한 감정선
2025-05-13 14:05:46[현장] 10년간 115팀 투자…네이버 D2SF가 만든 테크 스타트업 생태계
2025-05-13 12:00:00비스테이지+, 위챗 미니프로그램 론칭…中 팬덤 시장 노크
2025-05-13 11:2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