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뽑기 확률 공개 위주로 자율규제안 논의…공개 방식은 ‘한 보 전진’
- 자율규제안 강령 구체적 시행 방침은 세칙서 결정돼
[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회장 강신철, 옛 한국게임산업협회)가 15일 국회도서관에서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강령’을 발표했다.
확률형 아이템은 뽑기형 아이템으로도 불린다. 이용자가 아이템을 뽑는데 확률이 개입되는 유료 수익모델(BM)을 말한다. 국내 업체들은 특정 아이템을 팔기 보단 주로 보물상자를 판매한다. 보물상자를 여는 순간 아이템의 등급이 정해지는데, 이용자가 대박 또는 꽝에 해당되는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주요 게임업체들 위주로 아이템 뽑기 확률을 공개하는 자율규제를 시행해왔지만, 구간별 확률(1~10%, 10~40% 등)로 표기하거나 인터넷 카페 공지사항 등에 글을 올려 정보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이런 가운데 확률형 아이템 규제 내용을 담은 법안이 발의되자 업계에선 ‘자율규제안을 강화하겠다’는 움직임을 보였고 이날 협회가 업계와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정책협의체가 논의한 자율규제 강령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번 자율규제안에선 아이템 뽑기와 함께 게임업계 주력 수익모델인 인챈트로 불리는 ‘아이템 강화’ 규제안이 빠졌다. 앞서 업계가 마련한 자율규제안에선 인챈트에 대한 내용이 있었으나 오히려 자율규제안을 강화하겠다고 내놓은 새 강령에서 이 부분이 제외됐다.
아이템 강화와 캐릭터 초월 등을 뜻하는 인챈트는 국내 대부분의 모바일 역할수행게임(RPG)에 적용돼 있다. 예를 들어 무기 10강이라는 말은 해당 무기 아이템을 10번 강화했다는 말이다. 일정 강화 수준을 지나면 확률이 개입되고 또 강화 수준이 높을수록 성공 확률이 급격히 떨어진다. 아이템이나 캐릭터 강화(또는 초월)를 위해선 상당 가치의 재화가 투입되는데, 강화에 실패한다면 이 재화가 말 그대로 증발하게 된다. ‘꽝’이라도 나오는 아이템 뽑기보다 강화에 대한 자율규제가 시급한 부분이기도 하다.
김문환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K-iDEA) 연구원은 업계 내에서 아이템 강화(인챈트)에 대한 자율규제 논의가 있었냐는 질문에 “이번엔 확률형 아이템 중심으로 논의가 됐다”며 짧게 답했다.
다만 일정 구매횟수(금액)와 희귀 아이템 제공에 대한 기준은 추후 세칙에서 정해진다. 김 연구원은 “큰 틀에서 합의를 이뤄냈고 이 부분은 강령에 이어서 세칙을 정하고 그 과정에서 합의에 이룰 수 있도록 한다”고 설명했다.
결국 자율규제안 강화 여부는 큰 틀에서 합의한 강령을 어떻게 시행하는지 내용을 담은 세칙 합의에 달렸다고 볼 수 있다. 오는 7월 1일 자율규제안 시행을 앞뒀고 이에 앞서 세칙을 정하게 된다. 이후 협회 주도로 사업자 설명회를 연다.
강신철 회장은 자율규제안을 업계 전반에 알리고 세칙을 정하는 것과 관련해 “소통과 반영을 통해서 잘 풀어나가겠다”고 말했다. 정책협의체 좌장을 맡은 황성기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법적 규제 시행과 관련해 “자율규제안의 제도적 우월성을 입증할 수 있는 기간이 필요하다”며 “1~2년 해보고 효과가 있다면 (자율규제안을) 정착시키는 방향으로 제도를 설계해야 되지 않나고 본다”며 의견을 냈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유심 해킹 여파…국방부, "장병 유심 교체 대책 마련"
2025-04-29 17:25:17[DD퇴근길] "바독보다 어려워"…이세돌, '데블스플랜'서 보여줄 '묘수'는
2025-04-29 17:21:43[타임라인] SKT 해킹사고, 어떻게 인지했나…발견까지 72시간
2025-04-29 16:43:29유심 해킹 SKT 유영상 대표, 30일 국회 과방위 청문회 출석
2025-04-29 15:54:45SKT “수습 역량 총동원…5월 내 유심 SW 변경 시스템 개발”
2025-04-29 15:01:02“정부부처 보안에도 빨간불”...국정원, 전부처에 유심교체 공문
2025-04-29 14:43:51게임산업 위기론 고조…조영기 게임산업협회장 역량 ‘시험대’
2025-04-29 17:32:41[일문일답] 정종연PD "데블스플랜, 시즌1과 완전히 달라져…악마의 게임 시작된다"
2025-04-29 17:24:23[DD퇴근길] "바독보다 어려워"…이세돌, '데블스플랜'서 보여줄 '묘수'는
2025-04-29 17:21:43하이브, 역대급 기록썼다…1분기 매출 첫 5000억원 돌파
2025-04-29 16:30:08"어닝 서프라이즈" 크래프톤, 1분기 영업익 4573억원 '역대 최대'
2025-04-29 16:25:07[현장] 이세돌 "바둑보다 데블스플랜이 어려워"…치열한 두뇌싸움 승자는?
2025-04-29 15:1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