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출시 후 한 달 누적매출 2060억원. 넷마블게임즈가 18일 제3회 NTP 행사에서 리니지2 레볼루션의 매출 지표를 공개하자 장내에 탄성이 터졌다. 업계 예상을 훌쩍 뛰어넘은 성과였기 때문이다.
이젠 넷마블이 무서울 정도다. 수백, 수천명이 실시간 전쟁을 벌이는 모바일 대규모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시장은 넷마블이 선점했다. 게임 시장에서 선점 효과는 대단히 오래간다. 넥슨, 엔씨소프트 역시 선점 효과를 통해 시장에서 자리 잡았고 지금까지 업계 최고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제 넷마블이 선점 효과를 톡톡히 누릴 차례다.
들리는 얘기론 넷마블은 더 큰 야심을 품고 있다. 회사가 어느 정도 잘 나가면 시기와 질투의 대상이 되지만 그보다 잘 나가면 두려움의 감정을 줄 수 있는데 그 단계마저 넘어서면 경외감이 느껴지는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방준혁 넷마블게임즈 의장은 경쟁사가 봤을 때 경외감을 줄 수 있는 회사가 되자는 목표를 삼고 있다고 한다. 이는 앞서 삼성전자가 내세운 초격차 전략과도 일맥상통한다. 경쟁사가 추격을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격차를 벌려놓는다는 전략.
이미 업계에선 ‘모바일 MMORPG 시장은 넷마블이 잡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에 개발사들이 모바일 MMORPG를 내놓겠다는 전략을 급선회 중이라는 얘기도 들린다.
넷마블의 초격차 전략은 현재진행형이다. NTP 행사에서 차기 모바일 MMORPG를 대거 꺼내보였다.
리니지2 레볼루션의 거대 이용자 기반이 차기작들의 시장 진입 발판이 될 터인데, 이 부분에서 어느 정도 승부가 갈린 것이나 다름없다. 넷마블과의 경쟁에서 승기를 잡으려면 그보다 몇 배는 더 재미가 있고 혁신적인 게임을 내놔야 한다.
넥슨, 엔씨소프트 정도의 개발 노하우와 자금력을 갖추지 않으면 불가능에 가까운 목표라고 볼 수 있다. 경쟁사 입장에선 방법론을 달리하는 모험을 할 수밖에 없다. 그렇지 않으면 국내에선 아무리 잘 나가더라도 넷마블의 뒤를 이은 2등에 만족해야 하는 상황이다.
방 의장은 NTP 이후 뒤풀이 회식 자리에서 리니지2 레볼루션의 생애주기(PLC)에 대해 “최소 10년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모바일게임 PLC 10년은 전인미답의 고지다. 왠지 넷마블이라면 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방 의장은 지금까지 공식석상에서 꺼내놓은 목표를 하나씩 현실로 만들어왔다. 넷마블이 열어갈 모바일게임의 미래는 어떨까. 벌써부터 궁금해진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타임라인] SKT 해킹사고, 어떻게 인지했나…발견까지 72시간
2025-04-29 16:43:29유심 해킹 SKT 유영상 대표, 30일 국회 과방위 청문회 출석
2025-04-29 15:54:45SKT “수습 역량 총동원…5월 내 유심 SW 변경 시스템 개발”
2025-04-29 15:01:02“정부부처 보안에도 빨간불”...국정원, 전부처에 유심교체 공문
2025-04-29 14:43:51과기정통부, SKT 침해사고 1차 조사결과 발표…"IMEI 유출은 없어"
2025-04-29 14:12:50SKT, 황금연휴 앞두고 비상…유심보호서비스 2.0 나온다
2025-04-29 10:45:09하이브, 역대급 기록썼다…1분기 매출 첫 5000억원 돌파
2025-04-29 16:30:08"어닝 서프라이즈" 크래프톤, 1분기 영업익 4573억원 '역대 최대'
2025-04-29 16:25:07[현장] 이세돌 "바둑보다 데블스플랜이 어려워"…치열한 두뇌싸움 승자는?
2025-04-29 15:16:02SK스퀘어, 美∙日 차세대 기술기업에 1000억원 투자
2025-04-29 14:47:19문화사업 30주년 CJ ENM…"온리원 정신 되새겨 글로벌 원년 도약"
2025-04-29 10:5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