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지난해 방송사업 매출이 전년대비 3.7% 증가한 15조3168억원으로 집계됐다. IPTV 사업자들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반면, 케이블TV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최성준)는 지상파방송사 등 337개 방송사업자의 '2015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을 공표했다.
이번 발표에서는 IPTV 사업자도 공표사업자에 새롭게 포함돼 통합적인 방송시장 파악이 가능하게 됐다.
전체 방송사업 매출은 전년대비 5468억원(3.7%) 증가한 15조316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지상파, IPTV, IPTV 콘텐츠사업자(CP) 및 지상파이동멀티미디어방송사업자(DMB)의 방송매출은 증가한 반면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위성방송사업자,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들은 감소했다.
이에 따라 SO(15.9%→14.7%), 홈쇼핑 PP(23.5%→21.2%)의 점유율은 전년대비 감소한 반면, IPTV(10.1%→12.5%)의 점유율은 확대됐다.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1조8095억원(162.4%) 증가한 2조 9116억으로 나타났다. 구조조정에 따른 인건비 감소, 판촉비 감소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급증한 KT를 제외한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2261억원(12.4%) 증가한 2조477억원이다.
수익원별로는 광고매출이 3조4736억원으로 전체 방송매출의 22.7%를 차지했다. 방송광고매출은 2011년 이후 점차 감소 추세를 보였지만 IPTV, 종합편성PP, CJ계열PP 등의 광고매출 증가로 전년대비 5.1% 증가했다. 다만, 전체 방송광고시장에서 지상파의 비중은 2006년 75.8%에서 2015년 55.0%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같은 기간 PP의 비중은 21.1%에서 38.9%로 확대 추세다.
지상파와 유료방송사의 수신료매출은 3조4317억원으로 22.4%였으며 홈쇼핑방송매출도 3조 2504억원으로 21.2%의 비중을 차지했다. 광고, 수신료, 홈쇼핑 매출 항목이 전체 방송매출의 3분의 2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프로그램판매·제공매출, 홈쇼핑송출수수료매출 및 협찬매출 등이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퇴근길] '갤럭시S25' 통했나?…삼성전자, 1Q 어닝서프라이즈
2025-04-08 17:24:16CJ온스타일, 프리미엄 뷰티 확장 본격화…‘아르마니 뷰티’ 선봬
2025-04-08 14:26:44SKT, 기업은행에 AI 피싱탐지 기술 적용…“사전테스트서 6억원 손실 예방”
2025-04-08 09:46:18법원, 신동호 EBS 신임사장 임명 제동…집행정지 신청 인용
2025-04-07 17:31:11유상임 장관, 잔여 임기 과제는… "GPU 보릿고개, 추경 절실" (종합)
2025-04-07 14:07:45마이리얼트립, 지난해 매출 892억원…첫 연간 흑자 달성
2025-04-08 17:25:56쌓여가는 K-팝 앨범, 예쁜 쓰레기인가요?…새로운 대안 속속 등장
2025-04-08 16:43:20위메이드, 위퍼블릭 통해 산불 피해 복구 성금 1억2000만원 기부
2025-04-08 14:26:28저작권 단체, 문체부 시정 명령 무시...음저협 회장은 보수 79% 인상
2025-04-08 11:0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