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클라우드

[신년기획/클라우드 ‘원년’, 과제와 전망①]글로벌 ‘빅4’ 영향력 확대… K-클라우드 성

[신년기획/한국 클라우드 확산 ‘원년’, 과제와 전망①]

지난해 9월부터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보호에 대한 법률(이하 클라우드 발전법)’이 시행되면서 클라우드 시장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높다. 클라우드 활성화를 막는 각종 법 규제의 완화 및 철폐를 통해 미래창조과학부는 현재 3.3% 수준인 국내 클라우드 이용율을 30%까지 끌어올리는 한편, 시장 규모도 2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올해부터 외국계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의 본격적인 국내 투자가 이뤄지면서 시장 공세를 예고하고 있어, 국내 클라우드 기업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디지털데일리>는 2016년 신년기획을 통해 올해 클라우드 시장 동향을 조망해 본다. <편집자 주>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현재 전세계 클라우드 시장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IBM 등 4개사 경쟁체제로 재편되고 있다. 지난해 3분기 시너지리서치그룹의 조사에 따르면 4개사의 클라우드 매출은 5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AWS의 시장 점유율은 30% 이상이다.

실제 지난 10월 말 공개된 AWS의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8% 늘어난 21억달러로 영업 이익도 매출의 1/4 수준인 5억21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이처럼 매분기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는 AWS이지만 후발주자인 MS와 구글의 공세도 만만치 않다. 시너지리서치그룹에 따르면 MS와 구글은 전년 대비 최소 100% 이상의 성장세를 기록하며 세를 확장하고 있다. 특히 최근 레드햇과도 손을 잡은 MS는 오픈소스 지원을 강화하면서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애저’띄우기에 나서고 있다. 일각에서는 AWS의 유일한 경쟁자는 MS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클라우드 춘추전국시대, 각기각색 서비스 등장=AWS와 MS, 구글, IBM 등이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VM웨어와 오라클, 시스코시스템즈, 레드햇 등도 특화된 클라우드 서비스를 출시해 경쟁하고 있다.

기업용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1위를 노리고 있는 오라클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와 플랫폼(PaaS), 인프라(IaaS)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6 회계연도 2분기(2015년 9월~11월)에 전년 대비 26% 늘어난 6억4천900만달러 매출을 기록했다.

또한 시스코는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장점을 결합한 시스코 ‘온프레미스(On-Premise) 클라우드’를 통해 기업 시장을 노리고 있으며, 레드햇은 오픈스택을 기반으로 퍼블릭 혹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구축하려는 기업들을 공략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중단하는 기업도 나타났다. HP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솔루션을 계속 판매하지만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달 말까지만 제공할 예정이다.

◆“AWS과 친구들”…‘매니지드’에 꽂힌 국내 업체들=한편 국내 클라우드 시장에서도 AWS과 MS의 영향력은 점차 커지고 있다. AWS의 경우, 구체적인 시점을 밝히지 않았지만 조만간 국내에 세 곳의 데이터센터(IDC)를 가동할 예정이며, MS 역시 마찬가지다. IBM은 최근 SK주식회사 C&C와 판교에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소프트레이어 시장 공략에 나섰다.

이들은 국내 기업들과 다양한 형태의 파트너 계약을 체결하며 시장 확대를 꾀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은 수의 파트너를 보유하고 있는 것은 AWS다. 업계에“정 안되면, 아마존 클라우드라도 팔겠다”는 말이 종종 나오는 것은 국내에서 AWS의 위상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이들 기업은 컨설팅부터 기술지원, 사용량 설정, 한국어 서비스, 세금계산서 발행 등 고객 편의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메가존과 농심NDS, GS네오텍 등이 AWS의 국내 주요 파트너사이며, 호스트웨이와 V시스템즈는 국내에서 유일한 ‘매니지드 서비스’ 인증을 받았다. 특히 호스트웨이는 AWS 매니지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베스핀글로벌’이라는 별도의 기업을 설립하기도 했다.

이밖에 AWS와 MS 등 다양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합 관리하는 클라우드서비스브로커리지(CSB)에 진출하는 기업도 늘어나고 있다. 영우디지탈, 동부, LG엔시스 등이 대표적이다.

◆한국 클라우드 서비스도 있다…SaaS 전향 국내 SW 기업도 늘어=국내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도 다수다. KT와 이노그리드, KINX, 더존비즈온 등은 현재 국내에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달 롯데정보통신도 오픈스택 기반의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인 ‘엘(L)-클라우드’를 출시하며 경쟁에 가세했다.

국내에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가장 먼저 시작한 통신사 KT의 경우, 네트워크 회선과 자체 IDC 보유 등의 강점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에 주력하고 있다.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며 공공기관과 대기업, 금융권 등을 노리고 있다.

국내 소프트웨어(SW) 업계 역시 자사의 제품을 클라우드화 시키는 추세다. 이미 어도비나 오토데스크, MS 등 세계적인 SW기업들은 자사의 SW를 SaaS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국내 SW 역시 AWS나 MS 등 글로벌 기업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이용해 해외 진출을 노리고 있다. 한글과컴퓨터, 폴라리스오피스, 영림원소프트랩 등은 자사의 오피스나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ERP) 등을 SaaS 형태로 변경하고 해외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 가상화 솔루션 기업인 틸론도 최근 퍼블릭 클라우드 형태의 데스크톱가상화(VDI)를 출시했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