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민형기자] 외부로부터 해킹을 당했지만 이를 인지하지 못한 기업처럼 위험한 것은 없다. 최근 시스템의 볼륨이 커지면서 복잡성이 늘어나자 해킹에 대한 탐지조차 못하고 있는 기업이 늘고 있다.
산스서베이(Sans Survey)가 IT, 에너지, 자동차 등 주요 글로벌 업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25%에 달하는 응답자가 침해당한 사실도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킹을 탐지하는데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방증이라 볼 수 있다.
인텔시큐리티가 새로운 보안전략으로 지능화된 위협 대응에 나선다. 핵심은 속도다. 침해사고를 빨리 발견한 뒤 복구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금전적 영향을 최소화하겠다는 전략이다. 물론 해킹이 발생하기 전 킬체인(Kill Chain)은 기본이다.
인텔시큐리티는 연속적인 방어를 위해 ‘인텔 쓰렛 디펜스 라이프사이클(Intel Threat Defence Life Cyle)’을 선보였다. 이는 올해 초 인텔시큐리티가 발표한 ‘적응형 보안(Adaptive Security)’의 연장선이다. ‘보호-탐지-교정’의 단계를 자동화로 구현했다는 점이 향상된 점이다.
쓰렛 디펜스 라이프사이클은 알려진 위협으로부터 조직을 보호하며(보호), 새로운 위협이 등장하면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고(탐지) 자동화된 워크플로우로 대응(교정)한다. 이 시스템은 중앙에서 ‘보호-탐지-교정’ 사이클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반복적인 사이클을 통해 대응 능력이 향상되고 보다 빠른 대응과 수정이 가능해지면서 기업의 금전적 손해도 줄여준다는 설명이다.
김 부장은 “위협을 제대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인텔리전스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가 시스템에 내재화돼 있어야 한다”며 “인텔은 글로벌 쓰렛 인텔리전스(GTI)를 통해 가장 많은 평판데이터를 보유해 정확하게 공격을 찾아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인텔시큐리티의 또 다른 강점은 ‘통합보안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오픈 인티그레이션 패브릭(Open Integration Fabric)’을 통해 서드파티 보안솔루션과의 연결이 자유롭다. 또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즈의 유연한 중앙 집중 관리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 김 부장은 “여러 보안업체들과 함께 위협에 대응해 나가기 위해 만든 생태계가 ‘오픈 인티그레이션 패브릭’”이라며 “API를 공개해 공동의 위협에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민형 기자>kiku@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IT클로즈업]‘미키17’로 재점화된 영화계 홀드백 문제...레거시의 단순 몽니일까?
2025-04-17 15:04:48CJ메조미디어, 디지털광고 특화 AI 어시스턴트 ‘앤써’ 출시
2025-04-17 10:40:40뉴 아이디, 현대자동차와 차량 내 FAST 서비스 출시
2025-04-17 10:23:24SKT,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 상용망 실증…’네트워크AI’ 실현 속도
2025-04-17 09:41:43최민희 의원, 부총리급 '과기정통인공지능부' 격상 개정안 발의
2025-04-16 18:17:07강유정 의원 “게임 과몰입보다 저몰입이 문제… 유저 목소리, 대선 공약 적극 반영”
2025-04-17 16:14:36"경영권 매각 아닌 FI 교체"…카카오모빌리티, 매각설 전면 부인
2025-04-17 16:03:38누리하우스, '수출 확장 프로그램' 출시…"5000개 바이어에 한 번에 샘플링"
2025-04-17 16:02:46조승래 의원 “게임산업 숙제, 시대 따라 달라… 게임특위로 해답 찾을 것”
2025-04-17 16:01:02[취재수첩] 3600만원 ‘면죄부’ 논란이 던진 질문들
2025-04-17 14:2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