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최근 핀테크 기반의 새로운 금융 서비스 플랫폼이 등장하고, 업체 간 경쟁 우위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요구되면서 금융권의 고민은 그 어느 때보다 깊어지고 있다. 이를 위해선 IT플랫폼의 변화가 필수적이다.
금융권의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은 이러한 점에서 그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단기간에 인프라 구매부터 서비스 제공까지 가능하며, 최소한의 비용 투입으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만 금융권의 경우, 일반적인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기엔 기존 관행과 규제, 보안 위협 등 고려해야 할 점이 많기 때문에 프라이빗 클라우드 혹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형태의 도입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EMC에 따르면, 현재 클라우드의 적용 범위와 종류는 사사분면으로 나눠 구분하고 있다.
2세대 플랫폼(서버-클라이언트 환경)와 3세대 플랫폼(모바일, 클라우드, 빅데이터, 소셜로 야기된 새롭게 야기되는 IT환경)을 상하, 온프레미스(내부)와 오프프레미스(외부) 환경을 좌우로 봤을 때 맨 오른쪽 위는 누구나 비용만 내면 원하는 만큼 쓸 수 있는 일반적인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다. 현재 이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이 제공하고 있다.
금융권의 경우, MS 오피스 365나 세일즈포스닷컴, 컨커와 같이 특정 업무 목적을 위한 오른쪽 하단의 엔터프라이즈 퍼블릭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사례도 있지만, 대부분 2세대 플랫폼 기반 온프레미스 환경의 프라이빗 클라우드가 적합하다는 설명이다.
조 이사는 “금융권은 안정성이 중요하며 성능을 보장해야 하는 만큼, 검증된 솔루션을 제공해야 한다”며 “EMC는 자회사인 VM웨어와 피보탈, 버츄스트림 등과 함께 엔터프라이즈급의 프라이빗 클라우드 및 퍼블릭 클라우드와의 연계가 가능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EMC의 소프트웨어정의스토리지(SDS)나 V블록, V스펙스 같은 통합인프라를 기반으로 가상화, 셀프서비스 및 자동화, 운영관리, 재정적 투명성까지 확보할 수 있으며, 통합 및 테스트부터 서비스 템플릿, 워크플로우까지 통합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백업과 복구를 통한 고가용성 및 재해복구를 비롯해 데이터베이스(DB) 프로비저닝, 서비스형 플랫폼(PaaS), 클라우드 브로커리지까지 추가 기능 모듈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해킹은 北 소행?…과기정통부 "확인된 바 없어"
2025-05-21 17:05:11[DD퇴근길] "AI 강화된 iOS19"…애플, WWDC25서 보여줄 혁신은
2025-05-21 17:04:30'미안하다, 사랑한다' 역주행 인기…웨이브서 20대 시청시간 67배 '껑충'
2025-05-21 16:43:42이진숙 방통위원장 “해킹 안전지대 없다…통신3사 보안 집중점검”
2025-05-21 16:03:40IPTV, 새로운 시청률 지표 선보인다…통합 시청데이터 플랫폼 출시 ‘초읽기’
2025-05-21 15:51:16과기정통부, 혁신도전형 연구개발 제도 활성화 방안 논의
2025-05-21 15:00:00[DD퇴근길] "AI 강화된 iOS19"…애플, WWDC25서 보여줄 혁신은
2025-05-21 17:04:30“연애만 하냐고? 친구도 만든다”…틴더, Z세대 데이팅앱 사용법 공개
2025-05-21 17:02:15휘슬, 경기도 용인특례시로 주정차 단속 알림 서비스 범위 넓힌다
2025-05-21 16:43:52위믹스, KISA 인증 보안업체 점검 결과 '양호'…"보안 문제 없다"
2025-05-21 15:50:38웹툰도 ‘쇼츠’ 시대… 네이버웹툰·카카오엔터, 숏폼 경쟁 본격화
2025-05-21 15: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