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통신*방송

이통사 직영점 ↑, 판매점 ↓…상생의 적정선은?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이동통신사들의 직영대리점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중소 판매점 수는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유승희 국회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미래창조과학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통신 3사 직영점은 2014년 12월 8424개에서 2015년 6월 현재 9014개로 590(7%)개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판매점은 3만2289개에서 2만8752개로 3537(11%)개나 줄었다.

SK텔레콤과 KT는 각각 289개, 263개나 증가했다. 원래 직영점 비율이 높았던 LG유플러스는 39개 증가에 머물렀다.

유승희 의원은 대리점과 판매점간 불공정 지원정책에 대해 문제 삼았다. 자금 여력이 풍부한 통신사 직영점의 경우 추가지원금 15% 지원이 가능하지만 열악한 영세 판매, 대리점들은 추가지원금을 지급하기 어려워 경쟁에서 도태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밖에 유 의원은 판매점이 줄 폐업할 경우 수만명의 실업자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우려했다.

하지만 이동통신 시장 규모에 비해 유통점이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도 존재한다. 지나치게 많은 유통점은 결국 비용증가를 수반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수수료만으로 먹고 살 수 없는 유통점들은 비정상적 영업행위에 몰릴 가능성도 존재한다.

판매점 수가 상당히 줄었음에도 불구 6월말 현재 직영점, 대형할인점 등을 모두 포함한 유통점 수는 4만2400여개에 달한다.

연간 번호이동, 요금제변경, 가입 등을 감안할 때 유통점에서 발생하는 업무 건수를 1억건 정도로 본다고 해도 유통점 당 하루 처리하는 업무건수는 10건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그나마 돈되는 번호이동이나 신규가입자 유치는 단말기유통구조법 시행 이후 크게 줄었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너무 많다는 지적은 어제 오늘일이 아니다.

하지만 이통사 직영대리점이 많아질수록 이통사들의 유통시장 지배력이 확대된다는 점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결국 한 쪽만 일방적으로 비판하기 보다는 상생과 산업발전을 위한 적정선을 찾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지나치게 많은 유통점, 고비용의 유통구조는 개선된 필요가 있다"면서도 "직영점이 지나치게 확대돼 이통사의 유통시장 영향력이 확대되는 것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한쪽의 지나친 증가, 감소보다는 상생할 수 있는 적정선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