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통신사가 데이터 중심 요금제 출시에 이어 데이터 추가 부가서비스 경쟁에 돌입했다. 통화 대신 데이터로 돈을 버는 시대가 본격화 됐다. 소비자는 편리함을 돈을 주고 살 것인지에 대한 고민의 시작이다.
1일 KT는 ‘마이타임플랜’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매일 3시간 동안 2GB 데이터를 속도 제한 없이 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2GB를 넘기면 최대 속도는 3Mbps로 떨어진다. 시간은 가입자가 정한다. 0시부터 21시까지 중 시작 시간을 선택한다. 월 2회 변경할 수 있다. 월 7700원이다. 11월30일까지 가입하면 월 5500원으로 깎아준다.
이에 앞서 SK텔레콤은 월 5500원에 하루 6시간 1GB 데이터를 제공하는 ‘밴드타임프리’를 선보였다. 1GB를 다 쓰면 최대 400kbps 속도로 무제한 데이터를 지원한다. 출근(오전 7~9시) 점심(오후 12~2시) 퇴근(오후 6~8시) 때 데이터 사용량이 느는 것에 주목했다. SK텔레콤은 ▲밴드출퇴근프리(월 9900원) ▲밴드더블데이(월 3850원) ▲밴드지하철프리(월 9900원) 등 통신 3사 중 가장 많은 상황별 데이터 부가서비스를 갖췄다.
LG유플러스는 아예 추가 데이터를 포함한 ‘뉴음성무한비디오데이터요금제’를 내놨다. LG유플러스의 모바일 인터넷TV(IPTV) ‘유플러스HDTV’와 주문형비디오(VOD)서비스 ‘유플릭스’에 쓸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한 요금제다.
통신사가 요금제와 별개 구조로 데이터를 더 주는 부가서비스 경쟁에 나선 것은 선택권 확대와 요금인하 요구에 부응하며 수익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요금제와 부가서비스를 분리하면 낙전수익 비난을 피할 수 있다. 소비자가 추가로 고른 것이어서 요금인상 지적도 빠져나간다. 수익은 수익대로 올릴 수 있다. 신청한 사람은 데이터를 다 쓰든 안 쓰든 매출이다. 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활용하며 이용한 콘텐츠 매출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소비자 입장에선 편리함과 비용 양쪽 중 무엇을 고르냐의 문제다. 요금제보다 데이터를 더 이용하려면 무선랜(WiFi, 와이파이)가 기본 선택지다. 통신사는 자사 가입자에게 자사 무선랜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랜 특성상 이동을 할 때는 사용할 수 없고 서비스 지역을 찾아다녀야 하는 불편이 있다. 월정액 부가서비스나 데이터 추가 요금제를 가입하면 이런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대신 돈이 든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기업은행에 AI 피싱탐지 기술 적용…“사전테스트서 6억원 손실 예방”
2025-04-08 09:46:18법원, 신동호 EBS 신임사장 임명 제동…집행정지 신청 인용
2025-04-07 17:31:11유상임 장관, 잔여 임기 과제는… "GPU 보릿고개, 추경 절실" (종합)
2025-04-07 14:07:45[일문일답] 유상임 장관 “남은 임기 2개월 남짓…ICT 발전 위해 최선”
2025-04-07 13:35:25과기정통부, 6G 리더십 확보한다…저궤도 위성통신 R&D 착수
2025-04-07 11:00:00저작권 단체, 문체부 시정 명령 무시...음저협 회장은 보수 79% 인상
2025-04-08 11:00:22위믹스 상폐 우려... 한국 블록체인 게임 시장 뒷걸음질할라
2025-04-08 10:59:21‘국민게임의 귀환’ 블로믹스, ‘포트리스HG’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
2025-04-08 10:05:21김병기 의원, 게임이용자 보호를 위한 게임산업법 대표발의
2025-04-08 09:42:18[단독] 남성판 '호텔 델루나'…신작 '그랜드 갤럭시' 넷플릭스行
2025-04-07 17:3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