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금융IT

2015년 종이문서 50% 감축 목표…금융권 페이퍼리스 어디까지 왔나?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2015년 말까지 업무에 사용되는 종이문서의 50% 감축을 목표로 내세웠던 금융사들의 전자문서(페이퍼리스) 사업은 어디까지 왔을까.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전자문서의 주요 채널로 부상하고 있는 태블릿PC의 가격 인하로 인해 금융사들의 페이퍼리스 사업은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당초 올해 말까지 예정돼 있는 은행권의 종이문서 생산량의 50% 절감 목표 달성은 무리가 없을 전망이다.

지난 2010년 지식경제부는 제10차 녹색성장위원회 관계부처 합동보고를 통해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전자문서 확산방안’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공공 및 일반기업의 전자문서 사용을 2015년까지 50%이하로 줄이기 위한 정책 등이 포함됐다.

금융위원회도 여기에 동조해 2015년까지 창구업무에서 발생하는 종이문서를 50% 이하로 줄이는 권고안을 냈다. 이에 11개 시중은행은 ‘은행공동 전자문서 TF’를 구성했으며 참여 은행이 14개까지 확대되며 본격적으로 금융사의 페이퍼리스 전략 구현이 시작됐다.

하지만 ‘녹색성장’을 정책기조로 내세우던 MB정부가 물러가고 ‘창조경제’를 내세운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면서 은행권의 페이퍼리스 사업은 다소 주춤한 상황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 정책이 오랜 기간 동안 일관성 있게 진행되기는 힘든 것이 사실”이라며 “하지만 비용절감과 디지털 금융 전략의 구체화로 인해 개별 은행단위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후 우체국금융과 농협은행, 기업은행, SC은행 등이 전 지점 대상 페이퍼리스 사업을 마무리하거나 현재 진행하고 있는 상황으로 개별 은행에 따라 추진 전략 및 속도는 차이가 있다는 평가다.

보험업계의 경우는 아웃도어세일즈(ODS)의 경쟁적 도입으로 인해 대외 서비스의 전자문서화는 대부분 마무리됐다는 관측이다. 이처럼 은행 및 보험권에선 사내 업무에도 태블릿PC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어 전자문서 활용을 위한 인프라 기반은 어느정도 구축이 마무리됐다.

하지만 이러한 전자문서 확대 움직임이 전 금융권으로 확대되기에는 아직 요원해 보인다. 무엇보다 금융권 전반에 전자문서 확산의 기본을 마련하기로 한 ‘은행공동 전자문서 TF’의 활동이 저조해지면서 전자문서 확산을 위한 성장동력도 구심점을 잃었다는 관측이다.

한국전자문서산업협회 관계자는 “2011~2012년까지 ‘은행공동 전자문서 TF’의 활동이 꾸준히 이어졌는데 이후 활동이 뜸해졌다”며 “법적, 제도적 안을 마련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이를 지원하기 위한 디바이스 가격이 걸림돌로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창구 업무에서 전자문서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자필경대, 태블릿PC 기반 입력도구 등이 구비돼야 하는데 2011~2012년 당시만 하더라도 이러한 디바이스가 고가여서 전 지점에 도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는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당시 파일럿을 통해 테스트되던 전자서명이 가능한 태블릿 제품이 일본제품으로 대당 가격이 200만원에서 300만원 사이를 왔다갔다 했다”며 “가격에 부담을 느낀 은행들이 이후로 창구 업무 페이퍼리스에 속도를 내지 못했다”고 전했다.

물론 최근에는 상황이 변화하고 있다. 전자서명이 가능한 태블릿PC의 가격대가 떨어지면서 전 지점을 대상으로 한 보급에는 큰 무리가 없어졌다는 평가다. 또 ‘은행공동 전자문서 TF’를 통해 전자문서 생산 및 유통 방식에 대한 기준(표준화 및 전자문서 활용에 대한 규약)은 세워졌기 때문에 현재 각 은행들은 각자 전략에 따라 전자문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특히 2011년부터 금융위원회에서 전자문서 실태조사를 시행하면서 금융사들이 전자문서 확산을 위한 TF팀을 설치, 운영하면서 전자문서 활용도는 높아졌다는 것이 업계의 관측이다.

실제로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2013년 전자문서 산업통계 및 이용실태 조사’에 따르면 금융산업에 있어 전자문서 이용률은 43.1%로 현재 미래부 검토가 진행되고 있는 2014년 통계에서는 50%를 넘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금융권 내부업무에서의 전자문서 활용률은 높아졌다”며 “다만 대외 서비스에 있어 아직 내부업무만큼의 전자문서화가 이뤄지지 않은 만큼 전자문서가 적용될 분야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