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국내 클라우드 산업 실태 전반을 처음으로 종합적으로 조사한 ‘2014년 클라우드 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국내 클라우드 기업의 매출은 규모에 상관없이 큰 폭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그 가운데 중견기업들의 매출은 전년 대비 107% 증가,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또한 클라우드 공급기업 조사 대상 164개 기업 중 대부분인 88.4%(145개)가 중소 소프트웨어(SW) 기업이며, 국내 클라우드 공급기업은 SaaS(27.4%, 45개), IaaS (26.8%, 44개) 등의 순서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 기업의 전체 클라우드 인력은 79.2%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클라우드 도입 이유로는 민간 및 공공기관 모두 관리비용 절감, IT 자원 관리 효율화 및 자료유출방지 등이 주요 항목으로 꼽혔다.
민간 기업은 IaaS(31%), 클라우드 SW(29.6%), SaaS(25.4%)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중이나, 공공은 IaaS(61.5%) 중심으로 클라우드를 활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입된 클라우드 솔루션의 외산 비중 조사 결과, 하드웨어(HW)의 외산 비중은 민간이 52%인데 반해 공공은 88.9%로 나타났으며 SW는 민간 47.4%, 공공 69.5%로 조사됐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국내 클라우드 산업은 초기 시장을 벗어나 본격적인 성장 단계로 진입하고 있으며, 향후 클라우드가 국내 ICT 산업을 이끌어가는 중요한 산업으로써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NIPA 측은 내다봤다.
그러나 국내 클라우드 솔루션의 도입 확산 등 국내 기업 중심의 생태계 형성을 위해서는 공공기관 클라우드 도입 확대(39.1%), 기술 개발 및 신규 서비스 모델 발굴(24.4%) 등 산업 활성화 및 경쟁력 확대 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이혁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진흥단장은 “이번 조사 결과가, 국내 ICT 기업의 클라우드 시장 진출, 학계 등의 클라우드 학술 연구 및 클라우드 수요기관의 도입시 기초 자료 등 국내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며 “지속적으로 클라우드 산업 실태조사를 실시해, 국내 클라우드 산업의 시계열 분석 및 전주기적 관리체계 등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6G 상용화 이전 'AI 네트워크 구현' 위한 지원 필요”
2025-04-17 20:30:56티캐스트, 콘텐츠 자체제작 중단…“제작팀 해체 등 비상경영체제 돌입”
2025-04-17 18:04:05[IT클로즈업]‘미키17’로 재점화된 영화계 홀드백 문제...레거시의 단순 몽니일까?
2025-04-17 15:04:48CJ메조미디어, 디지털광고 특화 AI 어시스턴트 ‘앤써’ 출시
2025-04-17 10:40:40뉴 아이디, 현대자동차와 차량 내 FAST 서비스 출시
2025-04-17 10:23:24"공개일 유출 의혹에 미정이라더니"…디즈니+, '나인퍼즐' 5월21일 공개
2025-04-17 18:06:10무신사, 창립 첫 비상경영 돌입…"1분기 실적 내부 목표 미달"
2025-04-17 17:21:46민주당 게임특위, “등급분류 전면 개편·질병코드 대응 강화”
2025-04-17 17:20:29[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도배될까…오픈AI, 차세대 SNS 개발 착수
2025-04-17 17:15:44강유정 의원 “게임 과몰입보다 저몰입이 문제… 유저 목소리, 대선 공약 적극 반영”
2025-04-17 16:1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