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다산·GIST·KISTI 업무협약 체결
[디지털데일리 이유지기자] 다산네트웍스(대표 남민우)가 산·학·연 협력으로 무선보안시스템 기술 개발과 장비 국산화에 나선다.
다산네트웍스, GIST(광주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5일 오후 GIST 행정동에서 국산 유무선 네트워크 기술 선도를 위한 산·학·연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 이들은 무선 네트워크 환경의 확산으로 발생하는 보안문제에 공동 대응하기로 협의할 예정이다.
이번 MOU로 다산네트웍스는 수요자 그룹별 특성 분석을 통한 외산 장비를 대체할 수 있는 국산 무선보안시스템 기술개발과 상용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GIST는 새로 개발될 기술 및 장비를 학교 현장에서 시범 운영해 실효성 검증에 기여할 예정이다. KISTI는 중앙부처와 수요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고 기술규격을 검토하는 등 전문성·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다산네트웍스 등 세 기관은 이러한 역할 분담으로 2013년 기준 무선보안시스템 시장의 약 76%를 차지하고 있는 외산 장비를 대체할 국산 기술 및 장비를 개발, 공급할 계획이다. 특히 업계에서는 최근 무선망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무선 보안 시장이 연간 4000~5000억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민병곤 다산네트웍스 스마트사업부 부사장은 “최근 기가급 무선랜 서비스 상용화 및 무선 네트워크 환경의 확산에 따라 각종 무선 보안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 융합기술 개발 수요가 높다”며, “이번 MOU를 통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무선보안시스템 기술 및 장비를 개발해 국산 네트워크 기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다산네트웍스는 이에 앞선 지난 6월 교육부 주도로 GIST, KISTI와 함께 무선랜(WiFi) 장비 ‘멀티 AP 컨트롤러’ 국산화 개발에도 성공한 바 있다. ‘멀티 AP 컨트롤러’는 제조사 간 무선랜 장비의 호환성이 보장되지 않던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국산 표준 프로토콜 기술규격이 탑재된 국내 최초 모델이다.
현재 전북대, 광주교육청, 대전교육청, 충남지역 학교 50여곳에 성공적으로 설치, 운영되고 있어 산·학·연 협력 국산화의 성공 사례로 꼽히고 있다.
<이유지 기자>yjlee@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KT, AI로 보안서비스 강화 “디도스 막고, 피싱메일 탐지”
2025-05-14 10:11:08SKT 해킹 피해…SK그룹, '정보보호혁신특별위원회' 신설
2025-05-14 09:16:37이재명 1호 공약 실현한다…민주당 정보통신위원회, LGU+ 평촌메가센터 방문
2025-05-13 13:47:25SKT 1분기 설비투자, 3사 중 가장 적어…“정보보호 투자 소홀과 무관”
2025-05-13 11:55:30통신3사 ‘갤럭시S25 엣지’ 사전예약 실시…“SKT는 기기변경만”
2025-05-13 10:41:03LGU+·토스 협업, AI ‘익시’ 브랜드 행사에 180만명 참가
2025-05-13 09:41:49펄어비스 1분기 실적 아쉽지만…‘붉은사막’ 기대감이 더 커진 이유(종합)
2025-05-14 09:05:38엔씨소프트, 올 1분기 영업익 52억원…전년比 80% 급감
2025-05-14 08:47:01펄어비스, 올 1분기 영업손실 52억원…전년比 적자 전환
2025-05-14 08:46:45네이버 웹툰엔터, 1분기 영업적자 387억원…"2분기 글로벌 확장 나설 것"
2025-05-14 07:11:56넥써쓰 장현국 대표, 두바이 상공회의소 방문… 글로벌 협력 논의
2025-05-14 07: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