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수환기자] LG전자(www.lge.co.kr 대표 구본준, 정도현)가 오는 5일(현지시각)부터 10일까지 독일 베를린 메세 베른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2014’에서 진일보한 스마트홈 서비스를 선보인다.
LG전자는 지난 4월 국내 시장에 ‘라인’, ‘카카오톡’ 등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가전제품과 일상 언어로 채팅하는 LG만의 스마트홈 서비스인 ‘홈챗’을 상용화한 바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대상 기기 및 서비스 확대 ▲외부기기/서비스 연동 등 고객들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한 새로운 기능들을 공개한다.
LG전자는 세탁기, 냉장고, 광파오븐, 에어컨 등 기존 스마트 생활가전 중심에서 로봇청소기, 스마트 조명, 무선 멀티룸 오디오 등으로 서비스 대상기기를 확대한다.
우선 고객이 집을 비울 경우 로봇청소기가 전면에 탑재한 전용카메라를 통해 집안 모니터링을 하다가 동작을 감지하면 사진을 촬영해 스마트폰으로 메시지를 전송해 주는 ‘홈 가드’ ▲ 세탁기/냉장고/에어컨의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 ▲생활에 유용한 모드(외출/귀가/휴가/장보기/취침 /휴식)별 통합 상황제어 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LG전자는 미국 스마트 온도 조절기 ‘네스트)’를 시작으로 사물인터넷 플랫폼 ‘올조인’ 등 글로벌 스마트홈 플랫폼 업체와 협력을 본격화한다. 네스트는 사용자의 외출/귀가에 맞춰 자동으로 온도를 조절하는 가정용 지능형 냉난방 온도 조절기 업체로 올해 초 구글이 인수했다.
홈챗 채팅창이나 네스트 단말기를 통해 외출/귀가를 입력하면 해당 모드에 맞게 집안 스마트 가전가 자동 설정된다. 네스트 단말기는 별도 조작 없이도 현재 모드를 스스로 판단, 최적의 모드를 제안한다.
외출 모드의 경우 냉장고는 전력사용량을 줄여주는 스마트 절전 모드로 바뀌고 로봇청소기는 홈 가드 기능이 작동된다. 에어컨/스마트 조명/무선 멀티룸 오디오 등은 동시에 전원이 꺼져 일일이 전원을 끌 필요가 없다. LG전자는 네스트와 연동한 홈챗 서비스를 연내 미국 시장에 출시한다. 향후 ‘올씬 얼라이언스’의 올조인과 연동하면 LG 스마트 가전의 작동 상태를 LG 웹OS 스마트+ TV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향후 LG전자는 근거리무선통신(NFC), 무선랜 등을 탑재한 스마트 가전 라인업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LG전자 HA사업본부장 조성진 사장은 “글로벌 스마트홈 플랫폼 업체와 협력을 통해 스마트 가전에 새로운 가치를 더할 것”이라며 “고객 삶이 더 쉽고 편안해 질 수 있는 진정한 스마트 기술을 지속 선보이겠다”라고 강조했다.
<베를린(독일)=이수환 기자>shulee@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음5G 현황下] 확산 한계치 도달?...“DX본격화 되면, 수요 급증” 전망도
2025-04-04 19:46:29법원, 방통위의 KBS 신임감사 집행정지 신청 ‘기각’
2025-04-04 19:41:00[윤석열 파면] 헌재 “야당의 방통위원장 탄핵소추, 계엄령 요건 될 수 없어”
2025-04-04 16:47:39SKT 유영상 “돈버는 AI 성과 본격화”…AI 성과 가시화 재차 강조
2025-04-04 10:44:29'尹 운명의 날'…통신3사, 탄핵선고 앞두고 총력 대비
2025-04-04 10:08:18[단독] 유료방송 위기여파 PP로…“콘텐츠 사용료 약 1200억원 감소 전망”
2025-04-03 17:44:35[윤석열 파면] "네이버·다음 프로필, 前 대통령"…페북·인스타 소개글은?
2025-04-04 18:23:30엔시티 위시, 엠넷플러스 '숨바꼭질' 두번째 플레이어로 출격
2025-04-04 17:44:41[DD퇴근길] 윤석열 대통령 파면…ICT·산업계 미칠 영향은?
2025-04-04 17:16:48[윤석열 파면] '탄핵 기념 정식' 인증샷 급증…中 포털서는 실시간 검색어 1위도
2025-04-04 16:49:16우아한형제들, 독일 모기업 DH 자사주 매입·소각…5372억원 지급
2025-04-04 16:48:46우아한형제들, 지난해 매출 4조원 벽 뚫었지만…무료배달 경쟁에 영업익 감소
2025-04-04 15:1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