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주파수 활용도 낙제점 와이브로, 용도변경 이뤄질까
디지털데일리
발행일 2013-06-09 18:44:59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통신업계가 희망하고 있는 와이브로 주파수의 TD-LTE 전환 가능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와이브로 서비스는 조 단위의 투자에 상용화 된지 6년이 넘었지만 가입자는 100만명 수준에 불과하다. 4세대 이동통신 LTE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와이브로는 규모의 경제를 형성하지 못했다.
그러다 보니 주파수 활용도 측면에서도 낙제점을 면치 못하고 있다. KT가 2.3GHz 대역에서 30MHz폭, SK텔레콤이 27MHz에서 와이브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보통 주파수 폭이 20MHz 정도면 약 500만명의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다고 한다. 할당된 주파와 투자비, 유치한 가입자 수를 대비할 때 와이브로 서비스는 투자수익률(ROI) 측면에서 가장 비효율적인 것이다.
때문에 KT는 지난해 와이브로 주파수를 TD-LTE 용도로 활용하는 것을 검토하기도 했지만 당시 주무기관인 방송통신위원회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하지만 주파수 효율적인 활용과 향후 2.6GHz 주파수 할당과 맞물리면서 와이브로 정책에 대한 관심도 다시 커지고 있다. 현재 미래부는 자문단을 구성, 와이브로 정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무엇보다 LTE가 음성은 물론, 고속 이동통신 데이터 서비스로 확고히 자리를 잡은 만큼, 와이브로에 대한 방향성을 명확히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와이브로와 TD-LTE는 기술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용도변경이 이뤄질 경우 지금보다 주파수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다. TD-LTE는 주파수를 상하향 대역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FD-LTE와 달리 같은 전체 대역에서 업로드, 다운로드를 동시에 처리하는 시분할 방식이다. 와이브로 역시 시분할 방식이다. 크게 다른 기술이 아닌 것이다.
여기에 퀄컴이 40여개의 LTE 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는 통신칩을 선보이면서 주파수 대역에 따른 단말기 이슈도 해소됐다. 음성은 FD-LTE나 3G 네트워크로, 데이터는 TD-LTE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와이브로가 구현하지 못했던 것들이다.
규모적인 측면에서도 중국, 인도 등 가입자 기반이 탄탄한 국가에서 TD-LTE가 활성화되고 있기 때문에 규모의 경제실현에도 유리하다. FD-LTE와도 호환이 가능하다. KT나 SKT는 와이브로 주파수를 TD-LTE 용도로 활용하는 것을 정부가 허용해줄 경우 LTE 데이터 트래픽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와이브로 주파수를 M2M나 TD-LTE 방식 등 활용도 측면에서 고민이 필요하다”며 “”올해 계획을 확정하고 내년 이후부터는 실행에 옮겨야 한다“고 말했다.
와이브로 주파수의 용도 변경의 가장 큰 문제는 정부 의지다.
하지만 현재 법상으로 용도변경은 쉽지 않다. 와이브로 주파수에서 LTE 서비스를 하려면 해당 서비스 사업자가 주파수를 반납해야 한다. 현행법상 용도가 지정돼 할당된 주파수를 그대로 쓰지 않는 것은 대표 결격사유에 해당된다. 때문에 법을 고치지 않고 정부 맘대로 용도를 변경할 수 없다.
미래부는 제4이동통신이 와이브로 또는 TD-LTE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요청할 경우는 별개 차원에서 검토할 수 있지만 기존 사업자들의 변경 요청은 쉽게 결정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때문에 미래부는 와이브로 산업 자체에 대한 활성화 방안이나 재난망 또는 사물통신 등에 활용될 수는 없는지도 고민하고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주파수를 받아 갈 때는 와이브로 용도로 가져가놓고 이제와서 다르게 쓰게 해달라는 것은 안된다”며 “주파수 효율성 측면이라면 와이브로가 더 성장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지, 다른 용도로 쓸 수는 없는지부터 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미래부는 전담반을 구성해 와이브로 정책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을 접수하고 있다. 최문기 장관도 와이브로 정책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통신기술로 평가되고 있는 와이브로를 한 단계 성장시키기 위해 더 투자를 해야 할지, 아니면 출구전략을 마련해야 할지, 미래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