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수환기자] “삼성전자 PC에 AMD 제품이 내장되는 비중이 20%가 넘었고 우리만 잘 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성장하고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권태영 AMD 아시아태평양 및 일본(APJ) 총괄 사장<사진>은 5일 AMD코리아 본사에서 기자와 만나 삼성전자와의 파트너십에 대해 강한 믿음을 보였다.
권 사장은 지난 2월 13일 국내에 진출한 PC용 반도체 업체 가운데 처음으로 APJ 총괄로 승진했다. 승진의 원동력은 삼성전자다. AMD에 첫 발을 디디면서 싱가포르에 있던 아태 총괄 본부를 한국으로 옮겼고 2010년 2%에 그쳤던 삼성전자의 AMD 제품 비중을 최근에는 20% 넘게 끌어올렸다.
최근에는 삼성전자 노트북에 쓰이는 외장형 그래픽프로세싱유닛(GPU)을 전량 공급하기로 결정했다. 경쟁사인 엔비디아와 엎치락뒤치락하며 GPU를 공급해왔던 양상이 크게 뒤바뀐 셈이다. 업계에서도 한 제조사 GPU를 노트북에 적용하는 경우를 상당히 이례적인 일로 바라보고 있다.
“1월 미국에서 열렸던 인터내셔널 CES 2013에서도 삼성전자 측에 왜 AMD 제품을 사용해야 하는지 이야기했다”며 “기술적으로 깊게 들어가는 것보다 사용자 입장에서 생각해야 하고 우리만 잘 되는 것이 아니라 파트너사도 제품을 많이 판매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권 사장이 부임한 이후 AMD코리아의 전략은 크게 달라졌다. ‘단순히 물건을 판매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함께 PC를 팔아야겠다’는 자세로 임한 것. 실제로 삼성전자가 약한 지역에 함께 들어가 적극적인 지원을 했다. 덕분에 7~8개국에 쓰이던 AMD 제품이 지금은 45개국까지 늘어났다.
이런 권 사장의 행동에는 ‘다이아몬드 전략’이 깔려있다. 고객사 해외법인 직원, AMD 국가별 담당자, 고객사 본사 담당자, AMD코리아 직원이 뭉쳐 시장에 알맞은 대응을 하도록 했다. 삼성전자뿐 아니라 HP, 레노버 등 주요 고객사에게도 같은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 줄어들고 있는 PC 시장에 대해서는 여전히 기회가 많이 남아있다고 평가했다. 권 사장은 “짧고 굵게, 수많은 사람보다는 소수정예로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며 “열정적이고 긍정적이며 선제적으로 대응하면서 일 순위를 정하면 나쁘지 않을 것이고 희망적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수환 기자>shulee@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권력적 방송심의는 흉기…사업자 중심 자율심의가 시대정신”
2025-05-17 14:30:00[OTT레이더] ‘배구여제’ 김연경의 마지막 스파이크…생중계로 감상해볼까
2025-05-17 10:09:44과기정통부, 현대홈쇼핑·NS쇼핑 재승인 결정…2032년까지
2025-05-17 05:06:24알뜰폰 증가률 1%대 회복…1만원 5G 요금제 효과 가시화?
2025-05-16 17:40:35[현장] 서울 성수서 셀럽 사로잡은 ‘칼 라거펠트’ 철학…“한국 사랑 돋보이네”
2025-05-16 14:59:11이해진 네이버, 첫 해외 일정으로 실리콘밸리行…글로벌 AI 투자 본격 시동
2025-05-16 18:43:15"경찰도 전기자전거 구독"…스왑, 서울경찰청 시범 공급
2025-05-16 18:42:14NOL 인터파크투어, 항공권 취소·환불 수수료 무료 프로모션 진행
2025-05-16 17:32:09[DD퇴근길] "구글에 지도 반출하면 생태계 무너질 것"…스타트업, 한 목소리
2025-05-16 17:22:59아디다스 고객 정보 유출…"2024년 이전 고객센터 문의자 대상"
2025-05-16 17:22:14네이버, 디지털상공인 연합 기획전 진행…"소성공인과 동반 성장"
2025-05-16 16:5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