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한주엽기자] 세계적인 경기 불안에 따른 완제품 수요 축소의 영향으로 올해 반도체 시장은 역성장이 예상된다. 상위 10개 업체들 가운데 스마트폰 분야에 집중한 퀄컴, 브로드컴을 제외한 인텔과 삼성전자, 텍사스인스트루먼트 등 주요 업체들의 매출이 전년 대비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다.
18일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올해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을 2980억달러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 3070억달러 대비 3% 줄어든 것이다. 상위 25대 반도체 업체의 매출은 4.2% 하락하면서 업계 평균보다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다. 그 결과 업계 총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1년 69.2%에서 2012년 68.2%로 줄어들었다.
스티브 오 가트너 책임연구원은 “거시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완성품 재고가 쌓였고 이는 반도체 업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며 “PC 공급망, 메모리, 아날로그 및 개별 부품 등이 가장 심한 타격을 입었다”다고 설명했다.
반도체 성장을 주도해온 PC 산업은 수 년만에 처음으로 하락 곡선을 탔다. PC 생산은 올해 2.5% 감소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성숙 조짐을 보이기는 하나 스마트폰은 올해도 전체 전자업계의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업체별로는 1위 인텔이 PC 수요 하락으로 매출이 2.7 % 축소됐다. 2위를 기록한 삼성전자도 D램 낸드플래시와 같은 메모리 제품 분야의 침체로 매출이 하락했다. 통신칩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AP)이 주력 품목인 퀄컴은 전년 대비 29.6% 매출을 확대하며 업계 순위가 6위에서 3위로 껑충 뛰었다.
브로드컴도 8.8%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넷로직마이크로시스템즈 인수와 무선랜 콤보칩과 같은 모바일 및 무선 사업 부문이 두 자릿수 성장을 일구면서 매출이 전년 대비 올랐다.
메모리 업체들은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D램은 저조한 PC 수요로 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졌고 낸드플래시는 더딘 비트성장(bit growth, 비트 단위로 환산한 생산량 증가율)으로 몸살을 앓았다. 메모리가 주력인 삼성전자(–8.7%), SK하이닉스(-11.2%), 도시바(-13.7%), 마이크론(-9.3%)의 모두 전년 대비 매출이 줄었다.
<한주엽 기자>powerusr@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WC25] SKT, 'K-AI 얼라이언스' 7개사 글로벌 진출 지원
2025-02-24 10:17:42"스터디그룹·선의의 경쟁 봤지?"…와이랩, 이제는 '넷플릭스'다
2025-02-23 16:48:11통신3사, MWC25서 'AI 각축전' 예고…유상임 장관 깜짝 회동할까
2025-02-23 14:57:14[OTT레이더] 인생을 건 머니게임이 시작됐다, 웨이브 ‘보물섬’
2025-02-23 12:04:50[인터뷰]“밤 9시까지 AI 열정!”...’KT에이블스쿨 전형’이 신설된 이유는?
2025-02-23 09:00:00연간 통신분쟁 전년 대비 22% 급증…”이용계약 관련 분쟁이 절반”
2025-02-21 17:39:30"3D 아바타 만나는 가상도시"…마와리, AI·XR 더한 '난바 프로젝트' 가동
2025-02-24 11:35:40넥슨 ‘던전앤파이터’, 중천으로 재도약… 바통은 ‘카잔’으로
2025-02-24 11:30:05"KTX 타면서 렌터카까지"…쏘카, 장거리 이동 트렌드 제시
2025-02-24 10:26:3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브레이버스’, 7월11일 미국 출시
2025-02-24 10:19:17넥슨 ‘FC 온라인’, 이스포츠 대회 개편안 발표… 구단 프랜차이즈 도입
2025-02-24 09:29:13"스터디그룹·선의의 경쟁 봤지?"…와이랩, 이제는 '넷플릭스'다
2025-02-23 16:4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