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특집

[IT산업 결산과 전망/통신 정책] 스마트폰 광풍…내년엔 LTE 돌풍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2011년 통신시장은 ‘스마트(SMART)’라는 한 단어로 대변할 수 있다.  

스마트폰 가입자 2000만 돌파, 4G LTE 서비스 시작, 주파수 경매 등 통신시장에서의 굵직한 이슈에는 어김없이 ‘스마트’라는 단어가 깊숙이 자리잡고 있었다.

삼성전자, LG전자, 팬택 등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를 보유한 나라답게 스마트폰은 생활은 물론, 사회 전반적인 영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폭발적으로 늘어난 스마트폰 가입자 덕분에 데이터 트래픽 폭증은 여전히 큰 문제였다.

하반기에는 LTE 시대가 활짝 열렸다. 초반 모뎀 서비스에 이어 4분기 스마트폰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이동통신 시장도 3G에서 4G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스마트폰 2000만 시대…내년은 LTE 시대=2009년 말 도입된 스마트폰은 국내 이동통신 시장의 모든 것을 변화시켰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은 금융, 교육, 유통, 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켰고, 모바일 산업은 물론, 전체 산업의 경쟁력도 한 단계 끌어올린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스마트폰은 가계통신비 증가의 주범으로 오인받기도 했다. 무선인터넷 요금, 애플리케이션 구매 비용, 단말기 할부금 등이 원인이었다. 하지만 스마트폰을 통한 후생가치가 요금보다 더 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방통위는 이와 관련 통계청과 협의를 통해 문화비로서의 통신비 개념을 재정립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LTE가 스마트폰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을 견인할 예정이다. 이미 LTE 스마트폰 가입자는 요금제 출시 석달도 안 돼 100만명을 돌파했다. 내년 KT의 시장참여를 비롯해 이통사들의 커버리지 확대 및 제조사의 전략 제품들이 출시되면 가입자 증가속도는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MVNO 대거 진입…멀어진 제4이통=매년 통신요금 인하 이슈가 불거질때마다 정부의 대답은 경쟁을 통한 활성화였다. 하지만 기존 이통3사의 경우 실질적인 경쟁이 어렵다고 판단, 제4이통사, MVNO 등을 통해 정책목표 달성을 추진해왔다.

수년째 답보상태였던 MVNO의 등장은 올해 우여곡절 끝에 이뤄졌다. 하지만 선불카드로 시작한 MVNO들의 초기 성적표는 기대이하였다. 또한 관심을 모았던 제4이통사 출현 역시 최근 무산되면서 경쟁을 통한 요금인하라는 정책목표 달성 역시 다소 힘들게 됐다.

하지만 내년부터 CJ헬로비전이 스마트폰 가입자 유치에 적극 나설 예정인데다, KCT, 온세텔레콤 등도 속속 번호이동 서비스를 앞세워 가입자 유치에 나설 예정이어서 올해와는 다소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여기에 내년 시행될 예정인 휴대폰 블랙리스트제도도 MVNO 안착에 힘을 더해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제4이동통신 출범은 다소 쉽지 않을 전망이다. 대규모 투자를 수반하는 전국망 사업자의 경우 시장진입 장벽이 만만치 않은 만큼, 정부 역시 MVNO에 대한 지원책을 강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을 전망이다.

첫 주파수 경매…700MHz 갈등 지속=올해에는 처음으로 주파수 경매제도가 실시되면서 업계의 높은 관심을 모았다. 또한 방송의 디지털 전환으로 나오게 되는 700MHz 대역의 용도에도 많은 관심이 집중됐다.

8월에 진행된 주파수 경매제도는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확보함과 동시에 경쟁사에 대한 견제 등이 맞물리면서 당초 예상을 웃도는 과열 경쟁이 펼쳐졌다.

2.1GHz 대역의 경우 방통위의 경쟁상황을 고려한 정책적 판단으로 LG유플러스의 무혈입성으로 종료됐지만 1.8GHz 대역의 경우 SK텔레콤과 KT가 치열한 경쟁 끝에 SK텔레콤이 최저가격의 2배가 넘는 9950억원에 가져갔다.

결과적으로 1.8GHz 주파수를 놓친 KT는 광대역 LTE 서비스 기회 무산은 물론, 최근 2G 종료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점을 감안할 때 1.8GHz의 빈자리가 더욱 아쉽게 됐다.

주파수 경매에 이어 시장의 화두는 방송의 디지털전환 이후 발생하는 여유대역인 700MHz의 용처다. 통신업계는 데이터 폭증 문제가 심각한 만큼, 통신용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지상파 방송사들은 디지털전환 이후 용도를 결정해야 한다고 맞섰다. 방통위가 통신용으로 사용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가운데 내년 방송업계가 어떻게 대응할지가 관심사다.

이 밖에도 망중립성 문제를 둘러싸고 통신업계와 포털 및 제조사간의 힘겨루기도 이어졌다. 연말 KISDI가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지만 모바일 인터넷전화, 스마트TV 등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에 대한 결정은 뒤로 미뤄놔 내년에도 망중립성 문제는 업계의 뜨거운 화두가 될 전망이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