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뉴스

대출금리 여전히 높은데 예금금리 큰 폭 하락… '이자장사' 비판에 은행권 "금융당국 때문"

ⓒ5대 시중은행
ⓒ5대 시중은행

[디지털데일리 강기훈 기자] 한국은행이 2월 기준금리를 내린 이후 은행권 대출금리에 비해 예금(수신)금리 하락폭이 3배 가량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은 "불어나는 가계부채를 줄이고자 어쩔 수 없다"는 반응이지만 예대금리차가 계속 확대되고 있는 만큼, 은행이 고객들을 상대로 '이자장사'를 하고 있다는 비판은 피할 수 없어 보인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2월 기준 평균 예대금리차는 1.47%포인트(p)로 집계됐다. 이는 6개월 전인 작년 8월 1.03%p를 기록했던 것과 비교해 0.44%p 증가한 수치다.

은행 별로 살펴보면, 우리은행의 예대금리차가 0.77%p에서 1.48%p로 나타나 0.71%p 증가했다.

이어 신한은행이 0.89%p에서 1.45%p를 기록해 0.56%p 늘었으며, 국민은행은 0.84%p에서 1.33%p으로 0.49%p 증가했다. 하나은행 또한 1.24%p에서 1.65%p로 0.41%p 불어났으며, 농협은행의 경우 1.4%p에서 1.43%p로 0.03%p 소폭 증가했다.

예대금리차는 가계 대출 금리에서 예금 금리를 뺀 수치를 말한다. 예대금리차가 커질수록 은행의 예대마진이 극대화된다.

특히 작년 2월 한은이 기존 3%에서 2.75%로 0.25%p 가량 기준금리를 내린 이후 예대금리차는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대출금리보다 예금금리가 3배 이상 더 내려갔기 때문이다.

실제로 2월 기준금리 인하 이후 두 달 간 4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하단은 4.205~5.93%에서 4.07~5.59%로 0.13%p 가량 하락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이들 은행의 예금금리(12개월 만기 상품의 최고금리 기준) 하단은 2.95~3%에서 2.6~2.7%로 0.3~0.35%p 떨어졌다.

예대금리차 확대에 대해 은행권은 난감하다는 반응이다.

은행권은 금융당국탓으로 책임을 돌리고 있다. 금융 당국이 작년 내내 은행들에 가계대출 잔액을 관리할 것을 압박해왔기때문에 어쩔 수 없이 가산금리 인상으로 대출 억제에 나섰다는 것.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 따라 대출금리를 크게 낮추자니 가계부채 증가가 걱정되고, 가산금리를 올리자니 이자장사를 한다는 비판이 따라온다"며 "은행 입장에선 취할 수 있는 스탠스가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고 토로했다.

예대금리차가 매월 불어남에 따라 어려운 경기 속 은행들이 이자로 장사한다는 비판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논란을 불식시키고자 대선 정국에 맞춰 상생금융 대책이 나올 수 있다는 분석 또한 제기된다.

다른 은행권 관계자는 "조기대선이 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여야 후보 가릴 것 없이 금융대책을 내놓을 것"이라며 "금융권을 제외하고 대부분 업종의 업황이 좋지 않기에 은행들은 대선 후보들의 정책과 보조를 맞출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