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플랫폼

"한국이 중국 문화 훔쳐가"…中, 틱톡 떠난 美 사용자들에 '억지 주장'

서경덕 교수 "왜곡된 중화사상, 오히려 중국의 국제적 고립 초래해"

샤오홍슈에 올라온 중국 누리꾼들의 '한국은 도둑국' 관련 게시글 [ⓒ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샤오홍슈에 올라온 중국 누리꾼들의 '한국은 도둑국' 관련 게시글 [ⓒ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디지털데일리 조윤정기자] 미국 내 '틱톡 금지법'으로 틱톡 사용자들이 중국판 인스타그램인 '샤오홍슈(레드노트)'로 이동하는 가운데, 일부 중국 네티즌들의 무리한 '한혐' 주장이 도를 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19일 "기존 틱톡 사용자들이 피난처로 샤오홍슈로 갈아타고 있다"며 "샤오홍슈를 확인해 본 결과 중국인들이 플랫폼 내에서 '한국은 도둑국'이라는 억지 주장을 펼치고 있다"고 밝혔다.

샤오홍슈는 중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소셜미디어 중 하나로, 사용자 제작 콘텐츠와 이커머스를 결합한 플랫폼이다. 월간 활성 이용자(MAU) 수는 약 3억명에 달하며, 틱톡이 폐쇄 위기에 처하자 '틱톡 난민'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지난달 미국 앱스토어 다운로드 1위를 기록했다. 기존에는 주로 중국 내에서 사용되었으며, 이용자 대부분도 중국인이었다.

서 교수는 "중국인들이 신규 미국 이용자들에게 ‘한국이 중국 문화를 훔쳐가고 있다', ‘한국을 믿지 말라’ 등의 내용이 담긴 글과 영상을 대거 확산시키고 있다'며 "상황이 상당히 심각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 한국 문화가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으면서, 일부 중국 누리꾼들의 과도한 반응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러한 왜곡된 중화사상은 오히려 중국의 국제적 고립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0일 취임식 직후 행정 명령을 통해 '틱톡 금지법'을 유예한 가운데, 다양한 투자자들이 틱톡 미국 사업권 인수에 나섰다. 그러나 모기업인 바이트댄스는 매각 의사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