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가전

'적자 지속' 롯데하이마트, 지난해 영업익 79% ↓…"하반기부터 개선"

롯데하이마트 본사 사옥. [ⓒ롯데하이마트]
롯데하이마트 본사 사옥. [ⓒ롯데하이마트]

[디지털데일리 옥송이 기자] 롯데하이마트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79%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통상임금 기준 변경으로 인해 비용이 증가했다. 다만, 이를 제외한 연간 영업이익은 증가세로 나타났다.

5일 롯데하이마트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2조3567억원, 영업이익 17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각각 전년 대비 9.7%, 79.1% 하락한 수치다.

당기순손실은 전년 354억원에서 지난해 375억원으로 적자가 확대됐다. 이는 상반기 내수 부진 장기화, 백화점 업계의 프리미엄·혼수 가전 성장, 가전 제조사 구독 사업 확대 등의 요인 때문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롯데하이마트는 "내부적으로는 직영사원·판촉사원의 이원화된 인력 구조로 인한 능동적 영업 활동의 한계, 점포 효율화 과정에서의 폐점으로 인한 매출 감소 등의 요인이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매출의 경우, 하반기부터 개선세다. 롯데하이마트는 지난해 7월 1300여명의 판촉사원 공개채용으로 인력구조를 개선한 뒤, 하반기부터 매출이 늘기 시작했다고 강조했다.

오프라인에서는 기존점 매출이 4분기부터 증가추세로 전환했고, 이커머스 역시 직매입 자사몰을 중심으로 하반기부터 성장세가 시작됐다.

아울러 영업이익은 통상임금 기준 변경에 따른 비용102억원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82억원을 기록한 전년 보다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롯데하이마트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은 556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 줄었고, 영업손실은 163억원이다.

한편, 롯데하이마트는 데이터 기반 사업 혁신으로 매출 개선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지난 15년간 축적된 2100만여건의 방대한 고객 데이터를 분석해 고객 평생 케어 서비스의 접점을 마련하고, AI(인공지능)를 기반으로 상품과 서비스 구매 주기 고도화를 추진했다.

연장보증보험과 이전 설치, 가전클리닝 등 '평생 케어 안심 서비스' 전략 관련 매출은 전년보다 80%가량 증가했다. 자체브랜드(PB) 및 해외브랜드 매출도는 27%

늘어났다.

롯데하이마트는 올해 목표로는 매출 2조3000억원과 영업이익 100억원을 설정했다. 이를 위해 오는 4월 새로운 PB브랜드를 출시한다. 또한, 가전과 인테리어를 결합한 점포 확대 및 모바일 카테고리 중심 체험형 매장을 선보일 계획이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