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옥송이 기자] 롯데하이마트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79%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통상임금 기준 변경으로 인해 비용이 증가했다. 다만, 이를 제외한 연간 영업이익은 증가세로 나타났다.
5일 롯데하이마트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2조3567억원, 영업이익 17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각각 전년 대비 9.7%, 79.1% 하락한 수치다.
당기순손실은 전년 354억원에서 지난해 375억원으로 적자가 확대됐다. 이는 상반기 내수 부진 장기화, 백화점 업계의 프리미엄·혼수 가전 성장, 가전 제조사 구독 사업 확대 등의 요인 때문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롯데하이마트는 "내부적으로는 직영사원·판촉사원의 이원화된 인력 구조로 인한 능동적 영업 활동의 한계, 점포 효율화 과정에서의 폐점으로 인한 매출 감소 등의 요인이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매출의 경우, 하반기부터 개선세다. 롯데하이마트는 지난해 7월 1300여명의 판촉사원 공개채용으로 인력구조를 개선한 뒤, 하반기부터 매출이 늘기 시작했다고 강조했다.
오프라인에서는 기존점 매출이 4분기부터 증가추세로 전환했고, 이커머스 역시 직매입 자사몰을 중심으로 하반기부터 성장세가 시작됐다.
아울러 영업이익은 통상임금 기준 변경에 따른 비용102억원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82억원을 기록한 전년 보다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롯데하이마트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은 556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 줄었고, 영업손실은 163억원이다.
한편, 롯데하이마트는 데이터 기반 사업 혁신으로 매출 개선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지난 15년간 축적된 2100만여건의 방대한 고객 데이터를 분석해 고객 평생 케어 서비스의 접점을 마련하고, AI(인공지능)를 기반으로 상품과 서비스 구매 주기 고도화를 추진했다.
연장보증보험과 이전 설치, 가전클리닝 등 '평생 케어 안심 서비스' 전략 관련 매출은 전년보다 80%가량 증가했다. 자체브랜드(PB) 및 해외브랜드 매출도는 27%
늘어났다.
롯데하이마트는 올해 목표로는 매출 2조3000억원과 영업이익 100억원을 설정했다. 이를 위해 오는 4월 새로운 PB브랜드를 출시한다. 또한, 가전과 인테리어를 결합한 점포 확대 및 모바일 카테고리 중심 체험형 매장을 선보일 계획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유영상, 신임 팀장들과 대화…AI 가시적 성과 창출 주문
2025-02-11 19:32:53AI로 더욱 풍부해진 B tv…AI 스마트 리모컨 출시
2025-02-11 17:52:26AI시대 역할 커진 통신사…“유연한 규제·공정 분담서 혁신 가능”
2025-02-11 17:19:13IIC 주최 포럼 서울서 개최…김태규 부위원장 "격동의 시대, 국제적 교류 필요"
2025-02-11 15:12:06[DD퇴근길] '딥시크 쇼크' 언제까지?…클라우드 빅3 실적은 기대 이하
2025-02-10 17:03:44네오위즈, 2024년 연간 매출 3670억원… 연내 ‘P의 거짓’ DLC 출시
2025-02-12 09:27:21[컨콜] 엔씨소프트 “전사 효율화 작업으로 큰 규모 손실… 올해는 턴어라운드”
2025-02-12 09:19:52[IT클로즈업]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거래액 두 자릿수 성장 기대감, 그 원천은?
2025-02-12 09:19:31[현장] “라인망가 작품 추천은 일상 대화”…네이버웹툰 첫 日 팝업 가보니
2025-02-12 09:00:00새 ‘캡틴 아메리카’ 등장에… 극장가도 게임사도 ‘들썩’
2025-02-12 08:01:41파리 AI정상회담 참석 최수연 네이버, "디지털 생태계 선순환 구조 만들 것"
2025-02-11 2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