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배태용 기자] SK하이닉스가 AI 메모리 수요 확대와 고부가가치 제품의 판매 호조로 지난해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23일 실적발표에서 2024년 매출 66조1930억원, 영업이익 23조4673억원(영업이익률 35%), 순이익 19조7969억원(순이익률 30%)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22년 매출(44조6216억원) 대비 21조원 이상 증가한 수치로, 영업이익 역시 메모리 호황기였던 2018년(20조8437억원)을 넘어섰다.
4분기 실적도 눈에 띈다. 매출은 전분기 대비 12% 증가한 19조7670억원, 영업이익은 15% 증가한 8조828억원(영업이익률 41%)을 기록했다. 순이익은 8조65억원으로, 분기 기준 최고 수준이다.
SK하이닉스는 "AI 메모리 반도체 수요 강세와 HBM 기술력, 수익성 중심 경영 전략이 결합해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특히 HBM은 4분기 D램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했으며, 기업용 SSD(eSSD) 판매도 확대됐다.
또 "AI 메모리 시장 성장에 따라 고성능 제품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고객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 경쟁력을 확보한 것이 이번 성과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SK하이닉스는 2024년 말 기준 현금성 자산을 14.2조원으로 늘리고, 차입금을 22.7조원으로 줄이며 재무구조를 대폭 개선했다. 차입금 비율은 31%, 순차입금 비율은 12%로 낮아졌다.
회사는 빅테크 기업들의 AI 서버 투자 확대로 HBM과 고용량 서버 D램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하반기에는 소비자용 제품 시장에서도 AI 기능을 탑재한 PC와 스마트폰 판매 증가로 시장 회복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SK하이닉스는 올해 HBM3E 공급을 확대하고, HBM4 개발을 완료해 고객 요구에 맞춰 공급을 늘릴 계획이다. DDR5와 LPDDR5의 선단 공정 전환을 추진하며, 낸드 부문에서도 수익성 중심의 운영 전략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SK하이닉스는 연간 고정배당금을 기존 1200원에서 1500원으로 25% 상향하며, 연간 총 배당액을 1조원 규모로 확대했다. 배당 정책에 포함됐던 잉여현금흐름(FCF)의 5%는 재무건전성을 강화하는 데 우선 활용할 계획이다.
김우현 SK하이닉스 부사장(CFO)은 "고부가가치 제품 매출 비중을 확대해 안정적인 매출과 이익을 낼 수 있는 사업 체질을 갖췄다"며, "앞으로도 수익성이 확보된 제품 위주의 투자 원칙을 유지하며 시장 변화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이번 주말 약 90만개 유심 확보한다…“QR 유심재설정 준비 중”
2025-05-16 11:09:11“엄마아빠, 저예요” LGU+, AI로 순직소방관 목소리 복원
2025-05-16 09:25:30미디어산업 진흥 ‘마지막 기회’…“‘청와대 미디어수석’ 신설해야”
2025-05-15 17:43:18[DD퇴근길] 테무 개보법 위반, 13억대 과징금 철퇴…"협조 불충분"
2025-05-15 17:28:05"AI 투자, 개별기업 감당 못해…정부 전략적 역할 필요"
2025-05-15 16:24:51펄어비스 검은사막, 10주년 기념 LP 레코드 글로벌 발매
2025-05-16 11:08:21"곽튜브와 떠나는 1보 1식 먹방여행"…여기어때, 버킷팩 출시
2025-05-16 10:39:43시프트업 '스텔라 블레이드' PC 버전 프리오더 시작…내달 12일 정식 출시
2025-05-16 09:49:55[새 정부에 바란다④] "규제 칼날 피할까"…'진흥'에 목마른 플랫폼업계
2025-05-16 07:30:00[새 정부에 바란다③] 디지털 주권 vs 통상 리스크, 한-미 협상 갈림길에선 韓
2025-05-16 06: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