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최천욱 기자] 금융지주사들이 올 상반기에 순이익이 14조원을 넘어서면서 이익 성장세를 계속 이어갔다. 하지만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증가하면서 자산건전성 우려도 커지고 있다.
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상반기 금융지주회사 경영실적(연결 기준 잠정치)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금융지주 10곳(KB금융·신한금융·하나금융·우리금융·농협금융·DGB금융·BNK금융·JB금융·한투금융, 메리츠금융지주)의 연결당기순이익은 총 14조556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 같은 기간(13조6083억 원)에 비해 3.3%(4473억 원)늘어난 수치다.
업권별로는 보험이 같은 기간 13.3%(2878억 원)증가했고 은행과 금융투자는 각각 5.0%(4553억 원), 27.7%(9423억 원) 감소했다.
금융지주의 연결총자산은 3672조7000억 원으로 전년 말(3530조7000억 원)대비 4.0 증가한 142조원을 기록했다. 상반기중 금융지주의 연결당기순이익은 14조556억 원으로, 전년동기(13조6083억 원)대비 4473억 원 증가(+3.3%)했다.
6월말 현재 자본 적정성 지표를 보면 은행지주의 총자본, 기본자본, 보통주 자본(CET1)비율은 각각 15.76%, 14.59%, 12.88%으로 모두 규제비율 상회했다.
그러나 금융지주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90%로 지난해 말(0.72%) 대비 0.18%p 상승했고 1년 전 같은 기간(0.63%)에 비해 0.27%p 올랐다. 고금리의 여파와 경기 침체 등으로 차주들의 상환 능력이 악화됐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사업장 재평가로 부실채권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손충당금적립률은 121.1%로 지난해 말(150.6%) 대비 29.6%p 하락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자본비율을 포함한 주요 경영지표도 양호한 수준이나, 고정이하여신 증가 등에 따라 자산건전성 관리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면서 “글로벌 금리 인하, 지정학적 불안 등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잠재 위험요인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부동산PF, 해외 대체투자 등리스크에 대한 지주 차원의 위험관리 강화를 유도하고, 손실흡수능력 제고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안 넘어 국방의 문제” 의지 밝힌 최태원…'위약금 면제'엔 말 아껴 (종합)
2025-05-07 13:28:42최태원, SKT 해킹사고 직접 대응나서…“정보보호위원회 구성할 것”
2025-05-07 11:14:59최태원 회장, 과방위 청문회 불출석 사유서 제출…최민희 "불허한다" 거부
2025-05-06 22:32:13[PLAY IT] 운동할 때 이어폰이 불편하게 느껴진다면
2025-05-06 18:07:17CJ ENM 피프스시즌, 프리미엄 콘텐츠 라인업 본격 확대
2025-05-06 14:32:36LGU+, 에릭슨과 손잡고 AI 접목 차세대 기지국 구축
2025-05-06 14:32:23위메이드 박관호, "국내 거래소 불합리한 결정에 끝까지 대응"
2025-05-07 11:30:12"웹툰도 AI·숏폼으로 만난다"…네이버웹툰, 글로벌 앱 전면 개편
2025-05-07 11:25:54"BTS 진 컴백온다"…틱톡, 앨범 'Echo' 발매 기념 글로벌 이벤트 잔행
2025-05-07 11:17:21"청주 이어 대구까지"… 빔모빌리티, AI 주차 평가 시스템 도입
2025-05-07 10:52:41카카오게임즈, 1분기 124억 영업손실…"체질개선 지속"
2025-05-07 09:24:49[컨콜 종합] “대만에서도 코카콜라 로켓배송”…쿠팡, 글로벌 확장에 속도
2025-05-07 07:5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