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강기훈 기자] 은행들이 다시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해 대출 상품의 금리를 인상하고 있다. 이어 모집인을 통한 대출 또한 한시적으로 중단하는 등 대출 조건 또한 강화되는 모습이다.
불어나는 가계대출을 관리하고자 위함이다. 그러나 내집 마련을 위한 사다리를 걷어차지 말라며 실수요자들이 점점 분노하고 있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이 내달 2일부터 주담대와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최대 0.2%포인트(p) 인상한다.
신한은행 또한 10월 4일부터 주담대 금리를 0.1~0.2%p 가량 상향 조정하기로 했다. 전세자금대출 또한 0.1~0.45%p 올릴 계획이다.
지난달 말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금리 인상을 자제할 것을 촉구했던 것을 보면 의외라는 평이 나온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8월 25일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해 "저희가 바란 것은 쉬운 금리 인상이 아닌 미리 포트폴리오를 관리하라는 것"이였다"며 "개입을 더 세게 해야 할 것 같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7월 수차례 금리를 인상하던 은행권은 이 원장의 발언 직후 금리 인상 조치를 일제히 중단했다. 대신 주담대 한도를 축소하거나 1주택자의 추가대출을 제한하는 등 후속 정책을 내놨다.
그러나 금융당국이 정책 혼선을 야기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자 온건파로 분류되던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진화에 나섰다. 이어 이 원장이 은행의 정책 자율성을 인정하며 일단락됐다.
대출 증가세가 이어지자 은행권은 금리인상뿐만 아니라 여러 카드를 만지작 거리고 있다.
신한은행은 내달 4일부터 대출 모집인을 통한 주담대와 전세자금대출, 집단잔금대출 접수를 한시적으로 중단하기로 했다. 이어 다른 은행들도 추가 규제를 예고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당국이 은행의 전방위적인 대출 조이기에 날개를 달아주자 대출을 받으려는 차주 사이에서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부채를 줄이는 건 좋지만 실수요자들이 큰 타격을 받게 생겼기 때문이다.
아파트 입주를 앞둔 A씨는 "최근 대출 총량제 시행으로 많은 아파트 단지에서 집단대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러다가 2금융권에 비싼 이자를 주고 돈을 빌려야 하거나 집단대출이 안될 수도 있다"며 토로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당국이 가계대출 잔액을 관리할 것을 압박하고 있어 은행들 사이에서는 뭐라도 해야 하는 분위기가 형성됐다"며 "은행의 책임도 없지 않지만 화살이 은행에만 돌아가니 억울한 감이 없잖아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텔레콤 단독 청문회 추가로 연다…“다음달 8일 최태원 증인석 세울것”
2025-04-30 22:08:52겉핥기 된 SKT 청문회…‘위약금 면제’에 집중 (종합)
2025-04-30 18:31:10유상임 장관 “SKT 해지 위약금 면제, 관련 법률 검토 진행중”
2025-04-30 17:40:09[DD퇴근길] "갤럭시 웃고 HBM 울고"…삼성전자, 1분기 성적표는
2025-04-30 17:12:16SK그룹 최태원 증인 출석 의결…“해지 위약금 면제 확답 받아낼 것”
2025-04-30 16:05:14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美 트럼프 장남 만났다…"AI·테크 협력 모색"
2025-04-30 18:01:46다음, 앱 2차 개편 단행한다…숏폼 서비스 '루프'로 콘텐츠 혁신
2025-04-30 17:40:44주정차 단속 알림 앱 '휘슬', 경북 구미로 확장…"관광객 편의 높인다"
2025-04-30 17:25:52[DD퇴근길] "갤럭시 웃고 HBM 울고"…삼성전자, 1분기 성적표는
2025-04-30 17:12:16“연휴엔 나만 아는 장소로”…로컬여행 뜨자 모빌리티 플랫폼 ‘출동’
2025-04-30 16:24:56싸이더스 제작 'S라인', 韓 최초 칸 시리즈 '음악상' 수상
2025-04-30 16:0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