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김보민기자] 딥페이크가 의심되는 이미지를 올려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가 나왔다.
샌즈랩(대표이사 김기홍)은 생성형 인공지능(AI) 역기능 중 하나인 딥페이크를 탐지하는 서비스 '페이크체크(fakecheck)'를 출시했다고 5일 밝혔다.
페이크체크는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해 딥페이크가 의심되는 이미지를 올리면, 위조 진위 여부를 분석해 판별 결과를 알려준다. 전용 홈페이지에 접속만 한다면 누구나 회원가입 등 인증 절차 없이 무료로 활용해볼 수 있다.
샌즈랩은 현재 국민이 직면한 사회적 이슈에 도움을 보태기 위해 서비스를 자체 구축하고 유지하는 데 드는 클라우드 서비스 등 비용을 부담하기로 했다.
샌즈랩은 생성형 AI 역기능 탐지와 대응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통해 페이크체크와 같은 국민 체감형 플랫폼을 구축하는 국가 과제를 수행하다, 사회적 기여 차원에서 서비스를 민간에 개방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페이크체크는 다양한 AI 모델을 활용해 사람 얼굴 이미지의 위변조 여부 판별이 가능하도록 개발됐다. 범죄 예방 목적의 서비스인 만큼, 동물이나 사물의 딥페이크 이미지는 판별하지 않는다. 일종의 오픈 베타 테스트 버전으로, 지속적인 의견 수렴과 업데이트가 추가될 예정이다.
김기홍 샌즈랩 대표는 "페이크체크 서비스는 딥페이크 침해 사고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한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임직원이 한마음으로 만들어낸 대안"이라며 "미래 사이버 보안을 위한 AI 기술 개발로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폭증…최민희 "실질적 안전대책 필요"
2025-04-25 11:14:35유영상 SKT 대표 “해킹사태 사과…전체 이용자 유심칩 무료교체”
2025-04-25 11:00:00“스포츠 중계도 AI로”…KT스카이라이프, OTT ‘호각’과 협업
2025-04-25 10:19:31SKT, 카카오 지분 전량 매각…"SKB 지분 인수 목적"
2025-04-25 08:53:22“멀티호밍 시대, 정부 시청자 방송채널 선택권 확대해야”
2025-04-24 22:53:07"대기업·빅테크 대표까지"…리멤버 커넥트, 전문가 사전등록 4만명 돌파
2025-04-25 09:02:24위기의 유튜브…20주년 맞았지만 '끼워팔기' 논란과 '분할 위기' 그림자
2025-04-24 18:00:33法, '이정재 대주주' 아티스트컴퍼니 손 들었다…"신주발행, 문제 無"
2025-04-24 16:48:58넷플릭스 '탄금' vs 디즈니+ '나인퍼즐'…5월 韓 오리지널 격돌
2025-04-24 11:34:24문체부, 애니메이션 산업에 1500억원 투자한다…‘IP 강국’ 도약 시동
2025-04-24 11:29:42놀유니버스, NOL 브랜드 출범 기념 ‘NOL 페스티벌’ 국내편 개최
2025-04-24 10:2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