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권유승 기자] 국내 시중 은행의 연봉은 평균 약 1억1600만원, 금융지주사의 직원(임원 제외) 평균 연봉은 1억700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금융계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4개 은행이 공시한 '2023년도 사업보고서' 분석 결과, 이들 은행 직원 1인 평균 급여는 1억1600만원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2022년과 비교해 2.9% 증가한 수준이다.
지난해 은행별로 평균 급여를 보면 ▲ KB국민은행 1억2000만원 ▲ 하나은행 1억1900만원 ▲ 신한은행 1억1300만원 ▲ 우리 1억1200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분류하면 남성과 여성 직원의 연봉차이는 평균 3250만원으로 분석됐다.
이들 4대 은행의 '남성' 평균 연봉은 1억3375만원으로, '여성' 1억125만원보다 3250만원이 높았다. 다만 이같은 급여차는, 여성 직원들의 경우 급여가 적은 '단시간' 근로자의 비중이 크고 평균 근속 연수가 짧기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4대 은행 여성 직원 평균 연봉의 경우 ▲KB국민은행 1억 600만원 ▲하나은행 1억 500만원 ▲우리은행 1억300만원 ▲신한은행 9100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은행도 지난해 처음으로 평균 연봉이 억대를 돌파해 신한은행을 제외한 3개 은행의 여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대를 넘어섰다.
신한은행은 남성 직원과 여성 직원간의 평균 연봉 격차가 4000만원으로, 4개 은행중 가장 컷다.
남성 직원들에 비해선 낮지만 여성 직원들도 평균 연봉도 1억원대를 돌파한 것은 여성들의 근속 기간이 늘어난 것이 주요 이유로 분석됐다. 실제로 국민은행의 경우 지난해 여성직원 평균 근속 연수는 17년5개월로, 지난 2019년 12년 8개월과 비교해 크게 늘었다.
한편 지난해 4대 금융지주사(KB·신한·하나·우리)의 평균 직원 급여는 1억7100만원으로 집계돼 지난 2022년과 비교해 약 1% 늘었다. 금융지주사의 특성상 직급이나 근무 연차가 높은 직원들의 비중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4대 금융지주사 연봉의 경우, KB금융지주가 1억91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신한(1억7300만원)·우리(1억6700만원)·하나(1억5300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시대, ICT 정책은①] ‘정부주도→민간주도’…“인프라 위한 해외자본 유치 필수” 의견도
2025-04-18 15:28:56우리은행, 18일 알뜰폰 서비스 정식 출시…청소년 셀프 개통으로 차별화
2025-04-18 13:29:18과기정통AI부 설치법, 당론 채택될까…ICT 거버넌스 개편 논의 본궤도
2025-04-18 13:29:11SK브로드밴드, K리그2 생중계로 지역밀착형 미디어 역할 강화
2025-04-18 09:16:40“6G 상용화 이전 'AI 네트워크 구현' 위한 지원 필요”
2025-04-17 20:30:56위믹스, 1차 바이백 중간경과 보고… 해킹 탈취 물량 바이백 완료
2025-04-18 14:27:08전동킥보드 이어 공항버스도 정리…티맵모빌리티, 체질개선 속도
2025-04-18 14:12:28네이버-컬리, 이커머스 분야서 전방위 협업…“시너지 확대 기대”
2025-04-18 11:11:27무신사 뷰티, '주술회전' 소환…주미소 컬래버 마스크 출시
2025-04-18 09:16:57"공개일 유출 의혹에 미정이라더니"…디즈니+, '나인퍼즐' 5월21일 공개
2025-04-17 18:06:10무신사, 창립 첫 비상경영 돌입…"1분기 실적 내부 목표 미달"
2025-04-17 17:2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