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통신*방송

[통신경쟁시대]② 가계통신비 올랐다지만…막상 통신료는 제자리걸음

국내 통신업계가 적자생존과 경쟁의 기로에 섰다. 5G 28㎓ 주파수 추가 할당 경매를 통해 신규 사업자(제4 이동통신사)를 모집하는 한편, 삼성전자·애플로 굳어진 스마트폰 공급처는 여전히 소비자 단말기 선택폭을 제한시킨 요인으로 꼽힌다. 이동통신 3사의 무선사업 경쟁과 더불어 알뜰폰(MVNO) 관련 망 도매대가 산정까지 각 분야별 경쟁 상황을 통해 국내 통신업계의 현황과 비전을 되짚어본다. <편집자 주>

분기별 통신비 추이. [ⓒ 통계청]
분기별 통신비 추이. [ⓒ 통계청]


[디지털데일리 채성오기자] 최근 정부가 가계통신비 절감 대책 마련에 나서면서 통신 요금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는 통신요금이 가계통신비 인상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정부가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이하 단통법)'을 폐지한다고 발표하자 '정책이 시행되면 가계통신비 부담이 내려갈 것'이라는 기대 심리도 있지만, 실상 최근 3년 새 통계 결과를 보면 통신 요금은 일정 기간 상승한 이후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다.

이런 현상을 잘 살펴볼 수 있는 것이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결과'다. 현재 통계청은 매 분기마다 발표하는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통해 국민의 소비지출 항목을 공개하는데 '통신'도 여기에 포함된다. 통계청 조사에서 정의하는 '통신비'에는 유·무선 통신비 뿐 아니라 인터넷 요금, 휴대폰 단말기 비용,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요금 등 콘텐츠·플랫폼 항목까지 포함돼 있다.

이에 따라 통계청이 정의한 통신비는 ▲우편서비스(서신을 격지에서 주고받는 데에 필요한 서비스에 대한 비용) ▲통신장비(전화 및 팩스 등 통신장비의 구입) ▲통신서비스(전화, 팩스, 인터넷 등 통신서비스 이용요금)을 합한 금액으로 설계돼 있다. 통계청은 우편서비스 이용이 크지 않은 만큼 통신비에 대한 상세 구분으로 통신장비 요금과 통신서비스 요금만을 공개하고 있다.

최근 3년간 통신비 지출 항목을 보면 2021년 1분기 12만원이었던 통신 지출은 약 2년여 만인 지난해 3분기 기준 13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년 전보다 1만원 오른 수치로, 통신장비와 통신서비스 각각 5000원씩 증가했다.

분기별 통신비 세부항목 지출액 추이. [ⓒ 디지털데일리]
분기별 통신비 세부항목 지출액 추이. [ⓒ 디지털데일리]


다만, 변경폭은 상대적으로 통신장비 비용이 통신서비스 비용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분기 통신장비 비용은 전분기 대비 8000원 오른 3만원을 기록했지만, 통신서비스 비용의 경우 다섯 분기 연속 10만원을 기록하며 제자리걸음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통신서비스 비용에 인터넷 사용료, OTT 등 콘텐츠·플랫폼 요금 등이 포함됐음에도 불구하고 1년 이상 해당 요금에 변화가 없음을 감안하면 순수 통신이용료를 가계통신비 인상 요인으로 보기 어렵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통신 요금이 고착화된 현상은 통계청 외 데이터와 통신사의 가입자당 평균 매출(ARPU)을 통해서도 체감할 수 있다. 지난해 12월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가 발행한 '2023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주요 결과' 보고서를 보면 1인당 휴대전화 평균이용료는 4만7000원으로 전년(4만7600원)보다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9년 이후 4년 만에 전년 대비 감소세로, 알뜰폰(MVNO) 및 통신사 중저가 요금제 등 요금 선택폭이 넓어진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영향 때문인 지 통신사들의 가입자당 평균 매출(ARPU)는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SK텔레콤의 ARPU는 2만9913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 감소했고, 같은 기간 LG유플러스도 2만7300원을 기록해 6.4% 줄었다. 해당 기간 KT(3만3838원)만 유일하게 ARPU가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이달 들어 KT가 3만원대 5G 요금제를 출시했고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관련 요금제를 준비중인 만큼 올 1분기엔 통신 3사 모두 ARPU가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통신업계의 한 관계자는 "ARPU는 통신사의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3사가 꾸준히 하락세를 겪고 있는 것을 보면 통신이용료를 가계통신비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보긴 어렵다"며 "분기별 통신 지출 추이를 보면 통신서비스 이용료보다 단말기 값이 포함된 장비 요금이 변수였던 만큼 실질적인 가계통신비 인하효과를 체감하기 위해서는 단말기 출고가, 콘텐츠 이용료 등 다양한 항목을 고려한 정책이 뒷받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