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코로나19에 이은 고금리‧고물가‧고환율이 지속하면서 중소기업을 둘러싼 경영 여건이 악화되는 상황서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발 벗고 나섰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2023년 부처 정책 돋보기’를 공개했다. 급격한 경제 환경의 변화로 중소기업이 겪는 경영 위기를 기회로 바꾸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전환‧구조개선 제도의 한해 성과가 담겼다.
중기부가 특히 강조한 것은 ‘사업전환’ 제도다. 사업전화은 중소기업이 새로운 사업에 진출하고자 할 때 계획을 수립하고 중기부로부터 승일을 받으면 전환 과정에 필요한 자금, 연구개발(R&D), 세제 등을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다.
2006년 도입된 제도지만 최근 승인 건수가 크게 늘었다. 2019년 100여건에서 2020년 226건, 2021년 114건, 2022년 310건, 2023년 370건 등이다. 작년 사업전환을 완료한 중소기업은 사업전환을 시작한 2019년 대비 고용 37.2%, 매출 39%의 성장을 거뒀다.
또 중기부는 사업전환이 어려운 중소기업이 공급망 내 대기업이나 중소기업 등과 협력해 함께 전환할 수 있도록 제도적 환경을 조성한 ‘공동사업전환’ 제도도 시행했다. 작년 12월8일 최초 사례가 나왔다. 특수강 제조 기업인 세아베스틸을 중심으로 9개 중소기업이 협력해 제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산업용 소재로 재활용하는 사업과 내연차 부품에서 미래차 부품을 제조하는 사업으로 함께 전환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올해부터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을 통해 신사업으로 전환하는 ‘상생형 공동사업전환 프로젝트’를 전 산업에 전개해 성공모델을 발굴할 방침이다.
또 성장 잠재력은 있으나 일시적인 경영 애로를 겪고 있는 기업에게 중기부와 민간은행이 공동으로 금융지원 및 경영개선계획 수립 등을 지원하는 선제적 구조개선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올해 10개 시중은행과 협력체계 구축을 완료했다. 협약은행의 대출 규모는 작년 대비 5.9배 증가하는 등 민간자금의 유입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중기부 김우중 지역기업정책관은 “성장성이 높고 유망한 중소기업이 경영환경으로 인해 부실화되고 경쟁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구원투수 역할을 하는 사업전환이나 구조개선 정책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며 “우리 중소기업이 하루빨리 위기를 극복하고 재성장을 이룩해 우리 경제 전반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민관역량을 결집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태원, SKT 해킹사고 직접 대응나서…“정보보호위원회 구성할 것”
2025-05-07 11:14:59최태원 회장, 과방위 청문회 불출석 사유서 제출…최민희 "불허한다" 거부
2025-05-06 22:32:13[PLAY IT] 운동할 때 이어폰이 불편하게 느껴진다면
2025-05-06 18:07:17CJ ENM 피프스시즌, 프리미엄 콘텐츠 라인업 본격 확대
2025-05-06 14:32:36LGU+, 에릭슨과 손잡고 AI 접목 차세대 기지국 구축
2025-05-06 14:32:23LGU+ 알뜰폰 플랫폼 ‘알닷’, 출시 1년새 가입자 30만명 돌파
2025-05-06 12:21:35위메이드 박관호, "국내 거래소 불합리한 결정에 끝까지 대응"
2025-05-07 11:30:12"웹툰도 AI·숏폼으로 만난다"…네이버웹툰, 글로벌 앱 전면 개편
2025-05-07 11:25:54"BTS 진 컴백온다"…틱톡, 앨범 'Echo' 발매 기념 글로벌 이벤트 잔행
2025-05-07 11:17:21"청주 이어 대구까지"… 빔모빌리티, AI 주차 평가 시스템 도입
2025-05-07 10:52:41카카오게임즈, 1분기 124억 영업손실…"체질개선 지속"
2025-05-07 09:24:49[컨콜 종합] “대만에서도 코카콜라 로켓배송”…쿠팡, 글로벌 확장에 속도
2025-05-07 07:5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