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퓨처엠 포항 양극재 공장. [ⓒ디지털데일리]
[디지털데일리 배태용 기자] 포스코퓨처엠이 올 3분기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기록했으나 영업이익은 주춤했다. 배터리 소재 사업의 성장이 매출을 끌어올렸지만, 리튬, 니켈 등 메탈 가격 하락으로 판가가 떨어져 수익성이 악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포스코퓨처엠은 최근 기업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단결정 단독 적용 양극재'에서 강점을 지니고 있는 만큼, 가까운 시점에 이익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포스코퓨처엠은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1조 2858억원, 영업이익 371억원을 기록했다고 24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22.1%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54.6% 감소했다.
이는 증권가 전망치를 크게 밑돈 결과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포스코퓨처엠의 3분기 실적 추정치 평균(컨센서스)은 매출 1조4508억원, 영업이익 669억원이 수준이었다.
분기 최대매출 경신에는 지속 성장하고 있는 배터리소재사업이 영향이 컸다. 배터리소재사업은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고성능 전기차용 단결정 양극재를 비롯해 하이니켈 양극재의 판매가 확대되면서 전 분기보다 13.1% 증가한 9532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리튬, 니켈 등 메탈 가격 하락에 따라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41.7% 하락한 218억원을 기록했다.
포스코퓨처엠은 양극재 시장 재편에 따라 수익성이 점진적으로 좋아질 것이라고 자신하면서도 구체적인 시점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최근 양극재 시장은 기존 다결정 양극재와 비교해 안정성이 높고 수명도 긴 단결정 양극재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양상이다"라며 "3월 하이니켈 단결정 양극재 양산을 시작한 데 이어 다양한 니즈 충족을 위한 포트폴리오를 갖추며 추가 수주에 성공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2026년에는 전기차 배터리의 안정성과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단결정 단독 적용 양극재를 양산 공급할 계획이다"라며 "이와 함께 중급 및 보급형 전기차 시장 확대에 맞춰 가격경쟁력을 갖춘 LFP 배터리용 양극재와 고전압 미드니켈(Mid-Ni), 망간리치(Mn-Rich) 등 다변화하는 시장 수요를 고려한 제품 개발도 추진 중인 만큼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이다"라고 자신했다.
중국의 흑연 수출 통제에 따른 실적 둔화 우려와 관련해서는 "이번 조치는 수출 금지가 아닌 통제로, 수출 심사가 현재보다 복잡해질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인조흑연 음극재가 수출 통제 품목으로 현재 심사를 거쳐 기존 절차보다 약 2-3주 정도 소요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흑연도 절차는 복잡해지겠지만 조달이 불가한 것은 아닐 것으로 보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천연흑연 음극재는 현재 적정 재고를 보유 중으로 당장에 공장 가동에 차질을 주지는 않을 것이다"라며 "12월 1일부터 시행으로 상황을 주시하며 적정 재고를 확보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포스코그룹은 탄자니아 등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천연흑연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뷰] 이해민 의원, "美 통상마찰 없이 '망 무임승차' 해결하려면"
2025-04-03 15:59:44KT알파 쇼핑,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 점유율 1위 ‘로보락’ 최신상 판매
2025-04-03 13:35:10[현장] ‘탈TV·탈모바일’ CJ온스타일, 성수서 독보적 행보…“발견형 쇼핑의 정점”
2025-04-03 12:00:00[이음5G 현황上] ‘철도·공항’ 교통 인프라 내 구축작업 속도…5G 특화망, 어디까지 왔나
2025-04-03 10:01:43넥써쓰, 통합 앱 ‘크로쓰x’ 출시… 크로쓰 생태계 본격 가동
2025-04-03 17:05:28넷마블 ‘RF 온라인 넥스트’, 장기 흥행 청신호… MMO 서비스 노하우 빛났다
2025-04-03 16:35:54[빅테크 24시] 美, 틱톡 인수 아닌 '알고리즘 임대' 검토…결정 연기되나?
2025-04-03 16:12:11"가족 여행은 5월, 국내로 떠난다"…여기어때, 이용자 선택은?
2025-04-03 16:07:54카카오게임즈 ‘오딘: 발할라 라이징’, 4월29일 글로벌 출시
2025-04-03 15:24:33AI 다음 무대는?…휴머노이드 로봇 SW 기술 경쟁 본격화
2025-04-03 15: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