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양민하 기자] 러시아가 반세기 만에 시도한 달 탐사가 실패로 끝났다.
인류의 심(深)우주 진출을 위한 발판으로 주목받는 달의 남극에 최초로 착륙하겠다는 목표를 이루지 못했다. 러시아가 달 탐사를 시도한 것은 옛 소련 시절인 지난 1976년 이후 47년 만이다.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연방우주공사(로스코스모스)는 달의 남극을 조사하기 위해 떠난 무인 달탐사선 '루나 25호'(루나-25)가 달 표면에 충돌해 완전히 파괴됐다고 20일(현지시간) 밝혔다.
로스코스모스는 "초동 분석 결과에 따르면 계산된 수치와 실제 충격량 변수 간의 편차로 인해 루나-25 우주선이 계산되지 않은 궤도로 진입했고, 달 표면에 충돌한 결과 소멸했다"고 전했다.
지난 11일 오전 극동 아무르주의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발사된 루나-25는 당초 21일 달 남극 표면의 보구슬라우스키 분화구 북쪽에 착륙해 1년간 달 내부 구조 연구와 물을 포함한 자원 탐사 등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었다.
루나-25는 그간 지난달 14일 발사된 인도 무인 탐사선 '찬드라얀 3호'와 달 남극에 최초로 착륙하기 위한 경쟁을 벌여왔다.
인도의 찬드라얀 3호는 이르면 오는 23일 달 남극 지역 착륙을 시도한다. 찬드라얀 3호가 착륙에 성공한다면 달 남극 지역에 처음으로 인류의 손길이 닿는 새로운 이정표가 선다.
한편 미국과 중국도 조만간 달 남극에 탐사선을 보낸다.
중국은 2024년 달 남극을 탐사하는 '창어' 6, 7호를 발사할 계획이다. 미국은 유인 달 탐사 계획인 '아르테미스'(Artemis) 프로그램을 통해 2025년 우주비행사들을 달의 남극에 착륙시켜 탐사 활동을 벌인다.
달의 남극은 다량의 물이 얼음 상태로 존재할 가능성이 커서 인류가 심우주로 가기 위한 전진 기지가 될 수 있다는 기대를 받고 있다.
물이 있다면 식수와 산소는 물론 로켓 연료로 쓸 수 있는 수소를 현지에서 조달할 수 있어 화성과 태양계 외행성 유인 탐사의 난도가 크게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트워크 통·장] 트럼프 2기, 광통신 투자 집중?…韓 수혜주는
2025-02-01 11:03:00[DD퇴근길] 中 '딥시크' 쇼크, 글로벌 AI 산업 미친 파장은
2025-01-31 16:51:32[DD's톡] 딥시크 열풍에 통신주도 일부 수혜…같이 주목받는 ‘엣지AI’
2025-01-31 15:51:57"유출이 맞았네?"… 6월 27일 공개 '오징어게임3', 214번 정체는?
2025-01-31 10:44:46비싼 광고비 부담된다면…IPTV 업계, 소상공인 광고 제작 지원
2025-01-28 07:00:00中관영매체 "딥시크에 무차별 사이버공격…모두 미국 IP"
2025-01-31 17:52:58[DD퇴근길] 中 '딥시크' 쇼크, 글로벌 AI 산업 미친 파장은
2025-01-31 16:51:32"엔비디아 칩 유출됐나"...美 딥시크 충격에 수출제재 '빈틈' 찾는다
2025-01-31 16:42:39“너도나도 AI 기술 융합하는데…IT 강국 韓, 옛말 될 수도”
2025-01-31 15:50:38넥슨, ‘마비노기 모바일’ 3월 출시… 티저 영상 공개
2025-01-31 15:47:41'저비용' 딥시크 쇼크에도…MS·메타 CEO "AI 막대한 지출 필수"
2025-01-31 14:3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