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전자문서 및 전자계약 솔루션 전문기업 포시에스가 생성형 AI 기반의 전자문서 솔루션을 하반기에 출시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자연어 대화를 통한 LLM(대규모 언어모델) 기반의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문서 작성 방법’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특허는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과정에서 챗GPT 등 생성형 AI를 활용해 전자문서 작성에 필요한 항목을 추출하고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음성 및 챗봇, 화자 식별, 시선 추적 등에 이은 지능형 전자문서 기술 개발의 성과다.
포시에스는 AI 기계독해 기술을 접목해 상담원과 고객이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과정에서 음성을 텍스트 형태로 바꾸고, 텍스트로 변환된 두 사람의 대화 내용에서 계약서 등 전자서식 작성에 필요한 항목을 추출하고 입력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제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훨씬 복잡하고 다양한 상황의 대화도 보다 정교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해당 솔루션은 하반기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여러 사람이 참여한 대화에서 각각의 음성을 깨끗하게 분리하는 화자 분리 기술을 통한 고도화가 진행 중이며, 작성을 완료한 전자문서 내용에 대한 요약을 제공하거나 해당 문서에 대한 사용자의 질문에 답변하는 기능 등 추가적인 연구도 이뤄지고 있다.
포시에스는 다양한 AI 기술을 전자문서와 접목하여 활용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사람과의 대화가 아닌 디바이스와의 대화에서 뛰어난 음성 인식 기술을 통해 음성만으로 전자문서를 작성하거나, 시선 정보를 이용한 앱 제어 기술로 직접적인 조작 없이 보고 말하는 것만으로 편리하게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문서 내용을 작성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기존 종이 서식을 쉽게 전자서식으로 변환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내용 입력이 필요한 부분을 AI 모델이 인식하여 전자문서 입력란으로 변환해 주는 기술로, 다양한 문서 양식으로 자체 학습을 통해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기존 서식을 전자서식으로 변환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포시에스 박미경 대표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전자문서 작성 기술은 모든 전자문서 적용 분야에서 획기적인 사용자 경험을 선사하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디지털 트렌드에 부합하는 사용자 중심의 기술 개발을 통해,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경쟁력을 갖춰갈 것”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WC25] SKT, 'K-AI 얼라이언스' 7개사 글로벌 진출 지원
2025-02-24 10:17:42"스터디그룹·선의의 경쟁 봤지?"…와이랩, 이제는 '넷플릭스'다
2025-02-23 16:48:11통신3사, MWC25서 'AI 각축전' 예고…유상임 장관 깜짝 회동할까
2025-02-23 14:57:14[OTT레이더] 인생을 건 머니게임이 시작됐다, 웨이브 ‘보물섬’
2025-02-23 12:04:50[인터뷰]“밤 9시까지 AI 열정!”...’KT에이블스쿨 전형’이 신설된 이유는?
2025-02-23 09:00:00연간 통신분쟁 전년 대비 22% 급증…”이용계약 관련 분쟁이 절반”
2025-02-21 17:39:30"카톡 선물·야놀자 예약, AI가 한다"…오픈AI, '오퍼레이터' 국내 첫 도입
2025-02-24 14:00:37"3D 아바타 만나는 가상도시"…마와리, AI·XR 더한 '난바 프로젝트' 가동
2025-02-24 11:35:40넥슨 ‘던전앤파이터’, 중천으로 재도약… 바통은 ‘카잔’으로
2025-02-24 11:30:05"KTX 타면서 렌터카까지"…쏘카, 장거리 이동 트렌드 제시
2025-02-24 10:26:3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브레이버스’, 7월11일 미국 출시
2025-02-24 10:19:17넥슨 ‘FC 온라인’, 이스포츠 대회 개편안 발표… 구단 프랜차이즈 도입
2025-02-24 09:2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