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AI

"출시 2달만 1억 사용자"…'챗GPT' 돌풍 대응할 정부 전략은?

-23일 박윤규 2차관 주재 '디지털 국정과제 연속 현장 간담회' 개최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출시 2달만에 1억명 이상 이용자를 돌파하는 등 전 세계적인 열풍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챗GPT'와 같은 인공지능(AI) 시장 변화에 대응할 정책방향 모색을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2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서울 역삼동에 위치한 의료AI기업 '루닛' 본사에서 박윤규 2차관 주재의 디지털 국정과제 연속 현장 간담회를 개최하고, AI 기업 및 학계 전문가들과 함께 의견을 주고 받았다.

이날 간담회에는 하정우 네이버 클라우드 AI연구소장을 비롯해 서범석 루닛 대표, 아이스크림에듀 이지근 이사, 오혜연 카이스트 AI연구원장 등이 참셕했다.

챗GPT는 미국 오픈AI가 개발한 대화형 AI 챗봇으로, 사전 훈련된 자연어 처리 모델 기반의 생성형 AI 서비스다. 이용자들이 지식검색, 텍스트 창작, SW 코딩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며 일상생활 및 업무영역에서 인공지능을 직접 경험하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다.

이날 간담회에선 우선 하정우 소장이 ‘하이퍼클로바’ 개발과 API 개방 플랫폼 구축 경험을 토대로 국내외 초거대 AI 현황과 향후전망, 일상생활·공공영역에 초거대 AI를 활용하는 방안을 발표하였으며, 루닛의 서범석 대표와 아이스크림에듀 이지근 이사가 각각 의료, 교육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AI 제품・서비스 현황과 확산 방안을 공유했다.

또, 검색·상담 서비스, 콘텐츠 생성, 헬스케어, 법률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서 초거대 AI 접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 아이디어가 논의됐다.

실시간 정보 미반영, 거짓 답변 등 챗GPT의 한계로 지적되는 이슈에 대한 기술적 극복 가능성, 윤리・신뢰성 확보 방안과 초거대AI 개발·활용 관련 법·제도적 이슈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어졌다.

아울러 지난달 과기정통부가 발표한 ‘AI 일상화 및 산업 고도화 계획’을 통해 제시된 국민 일상 곳곳으로 AI 제품·서비스를 확산하기 위한 방안을 발굴·구체화하기 위해 AI 산업 현장에서 경험한 기업들의 생생한 의견을 청취했다.

박윤규 2차관은 “정부가 그간 추진한 데이터 구축·개방, 컴퓨팅 자원 제공, AI 연구개발(R&D) 지원 등 AI 정책들은 초거대 AI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이 될 것이라며 국내 기업도 독립적 플랫폼, 한국어 데이터, 디지털 역량을 바탕으로 초거대 AI 분야를 선도할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빅테크의 막대한 투자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역량을 총결집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조만간 초거대 AI 산업 생태계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정부 역할과 정책방향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올해를 AI 일상화의 원년으로 삼아 국민 생활 곳곳 AI 제품·서비스를 확산하는 전국민 AI 일상화 프로젝트를 관계부처와 함께 기획·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정우 소장은 “현재 초거대AI를 보유한 나라는 5개에 불과하며 우리나라가 세번째(하이퍼클로바)로 결코 늦은 것이 아니다”라며 “언어 사용 특징 고려했을때 한국에서 만든 초거대AI는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위해 기업 중심 산학협력을 위한 정부 지원과 법제도 개선, 다음 세대 초거대 AI를 위한 중장기 R&D를 꾸준하고 규모감 있게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