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DR5·CXL 첫 지원하는 인텔 데이터센터용 프로세서
- 반도체 한파 맞이한 삼성전자·SK하이닉스 기대감↑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기다리고 기다렸더니 드디어 나왔다.”
인텔의 차세대 서버용 중앙처리장치(CPU)인 ‘4세대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코드명 사파이어 래피즈)’ 출시에 대한 국내 반도체 업계 반응이다.
지난 1~2년 동안 메모리 시장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는 D램 세대교체였다. 증권가에서 DDR5 수혜주로 묶이는 기업들이 대거 등장할 정도였다. D램은 국제반도체표준협의기구(JEDEC)가 정하는 규격인 ’더블데이터레이트(DDR)’에 따라 나뉜다.
DDR은 한 클럭 사이클 동안 두 번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DDR 2차선 ▲DDR2 4차선 ▲DDR3 8차선 ▲DDR4 16차선 ▲DDR5 32차선 수준으로 확대된다. 최신 버전인 DDR5 D램의 칩당 최대 용량은 64기가비트(Gb)다. DDR4 D램(16Gb) 대비 4배 높다. 소비전력은 1.1볼트(V)로 9% 적고 최대 대역폭은 6400초당메가비트(Mbps)다. 쉽게 말해 더 적은 전력으로 더 좋은 성능을 낸다는 뜻이다.
현시점에서 가장 상용화된 건 DDR4 D램이다. D램은 핵심 응용처인 PC와 데이터센터에서 CPU와 짝을 이룬다. 따라서 D램이 다음 규격으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이를 지원하는 CPU 존재가 필수적이다.
사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D램 제조사들은 진작부터 DDR5 관련 준비를 마쳤다. CPU 양대 산맥인 인텔과 AMD만 스탠바이하면 DDR4에서 DDR5로 넘어갈 수 있었다. 당초 인텔은 2021년 하반기 DDR5를 처음으로 지원하는 사파이어 래피즈를 내놓을 예정이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퇴근길] 트럼프 주니어, 韓 찾는다…정용진 초청에 재계 총수 면담
2025-04-25 17:03:56SKT, 해킹사태 수습 ‘시험대’...“진상규명은 아직, 이용자 보호 집중”(종합)
2025-04-25 14:45:57신세계라이브쇼핑, 울릉도 관광 활성화 도모…“차별화된 여행 상품 운영”
2025-04-25 14:08:47[일문일답] SKT “진상규명 기다려달라...2중 3중 이용자 보호 집중”
2025-04-25 14:02:03[DD's톡] 'SKT, 카카오 지분 매각'에 양사 주가 희비 엇갈려
2025-04-25 11:31:10SKT,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폭증…최민희 "실질적 안전대책 필요"
2025-04-25 11:14:35구글 모회사 알파벳, 1분기 '깜짝 실적'…광고 부문 성장 견인
2025-04-25 17:09:06경주 개관 미디어아트 전시관, '덱스터' 자회사가 만든다
2025-04-25 16:39:44[콘텐츠뷰] "겹사돈·전공의 미화 논란?"…정면돌파 택한 '언슬전생'
2025-04-25 16:02:21'2초 노출에 2500만원'…웹툰 플랫폼, 콘텐츠 넘어 '광고 신시장' 연다
2025-04-25 15:59:30MS, 혐한 논란에 사흘 만 공식 입장… “출시 지연에 사과”
2025-04-25 14:02:42[DD's톡] 고개 못 드는 엔씨 주가… ‘아이온2’가 구할까
2025-04-25 13:5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