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DR5·CXL 첫 지원하는 인텔 데이터센터용 프로세서
- 반도체 한파 맞이한 삼성전자·SK하이닉스 기대감↑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기다리고 기다렸더니 드디어 나왔다.”
인텔의 차세대 서버용 중앙처리장치(CPU)인 ‘4세대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코드명 사파이어 래피즈)’ 출시에 대한 국내 반도체 업계 반응이다.
지난 1~2년 동안 메모리 시장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는 D램 세대교체였다. 증권가에서 DDR5 수혜주로 묶이는 기업들이 대거 등장할 정도였다. D램은 국제반도체표준협의기구(JEDEC)가 정하는 규격인 ’더블데이터레이트(DDR)’에 따라 나뉜다.
DDR은 한 클럭 사이클 동안 두 번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DDR 2차선 ▲DDR2 4차선 ▲DDR3 8차선 ▲DDR4 16차선 ▲DDR5 32차선 수준으로 확대된다. 최신 버전인 DDR5 D램의 칩당 최대 용량은 64기가비트(Gb)다. DDR4 D램(16Gb) 대비 4배 높다. 소비전력은 1.1볼트(V)로 9% 적고 최대 대역폭은 6400초당메가비트(Mbps)다. 쉽게 말해 더 적은 전력으로 더 좋은 성능을 낸다는 뜻이다.
현시점에서 가장 상용화된 건 DDR4 D램이다. D램은 핵심 응용처인 PC와 데이터센터에서 CPU와 짝을 이룬다. 따라서 D램이 다음 규격으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이를 지원하는 CPU 존재가 필수적이다.
사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D램 제조사들은 진작부터 DDR5 관련 준비를 마쳤다. CPU 양대 산맥인 인텔과 AMD만 스탠바이하면 DDR4에서 DDR5로 넘어갈 수 있었다. 당초 인텔은 2021년 하반기 DDR5를 처음으로 지원하는 사파이어 래피즈를 내놓을 예정이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간 통신분쟁 전년 대비 22% 급증…”이용계약 관련 분쟁이 절반”
2025-02-21 17:39:30[DD퇴근길] 계속되는 '망 사용료 갈등'…MWC, 논의의 장으로
2025-02-21 17:28:22[IT클로즈업] ‘망 사용료 논쟁’ MWC서 재점화될까…“주요국 입장 예의주시해야”
2025-02-21 11:30:17[DD퇴근길] 제로트러스트 실제 적용사례·정부정책 한눈에
2025-02-20 17:15:10"KT·네카오·메가존 합류"…ICT기업 품은 한경협, DX 혁신 꿈꾼다
2025-02-20 15:34:56SM·카카오엔터 합작 英 보이그룹 '디어앨리스' 공식 데뷔
2025-02-21 17:28:39[DD퇴근길] 계속되는 '망 사용료 갈등'…MWC, 논의의 장으로
2025-02-21 17:28:2229CM, 상반기 ‘이구홈위크’ 전년비 거래액 2배 돌파…“주방용품·홈 패브릭 상품 추천 적중”
2025-02-21 16:24:36위메이드 ‘레전드오브이미르’, 구글 플레이 인기 1위 달성
2025-02-21 16:16:01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탑’, 일본 현지 CBT 시작
2025-02-21 14:55:42"D.P. 신드롬 한 번 더"…한준희 신작 '로드', 넷플릭스로?
2025-02-21 13:2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