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완주 의원(무소속)<사진>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도 전체 방송사업자매출액 총 규모는 19조3502억 원으로 전년 대비 7.4% 증가했으며 지상파 방송사업자의 매출도 전년 대비 11.8% 늘어난 3조9882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전제 방송사업매출액 중 지상파 방송사업자의 매출 비중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로 지난 2012년 32%에서 지난해 20%로 약 12%p 감소했다. 특히 지난 10년 간 방송 3사의 평균 매출증감은 0.22%로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사실상 마이너스 성장률 수준으로 확인됐다.
방송3사 가운데는 MBC의 상황이 가장 심각했다. 지상파 전체 매출액 중 MBC가 차지하는 비율은 19.5%로 가장 낮았으며 지난 10년간 지상파 3사의 매출액 중 MBC가 차지하는 매출액은 25%로 역시 최하위를 기록했다.
특히 지상파 방송3사의 연평균 가구 시청률이 2010년 25%에서 2020년 13%로 꾸준히 하락했으며 MBC 역시 5.7%에서 2020년 2.3%로 절반 아래로 하락했다. 이는 최근 국내외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의 영향으로 지상파 방송의 성장률이 둔화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도 MBC는 프로그램 제작에 다소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지적이다. 박 의원실에 따르면, MBC의 프로그램 제작비는 2018년 이후 줄곧 감소 추세를 보여왔으며 지난해의 경우 4749억원으로 매출액 대비 제작비 비율은 3사 중 가장 낮은 60.9%를 기록했다.
박완주 의원은 “OTT 서비스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지상파 방송사업자의 다양한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며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OTT와의 협업 등 방송 제작·송출의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제작비 축소로 인해 프로그램을 제작해야하는 PD가 제작비 확보에 나서고 있다”며 “매출감소를 이유로 제작 투자를 좁힌다면 결국 자사 콘텐츠 경쟁력 저하 및 인력 유출 등 악순환이 반복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박 의원은 “지상파 방송3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적인 프로그램 제작 투자는 물론 최근 MBC가 넷플릭스와 협업한 '먹보와 털보'의 사례처럼 OTT 등 플랫폼을 활용하는 제작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딜라이브, 지자체 행사사업 BM 키운다…전남 진도 지역행사 수주
2025-04-09 10:35:13SKT, AI 스타트업 양성 프로그램 실시…“성장 기업과 협력 기회 모색”
2025-04-09 09:44:51[DD퇴근길] '갤럭시S25' 통했나?…삼성전자, 1Q 어닝서프라이즈
2025-04-08 17:24:16CJ온스타일, 프리미엄 뷰티 확장 본격화…‘아르마니 뷰티’ 선봬
2025-04-08 14:26:44카카오엔터 매각한다는 카카오, SM엔터까지? [IT클로즈업]
2025-04-09 11:47:38카카오엔터, 사모펀드에 매각 추진하나…노조 "공공성 위협 우려"
2025-04-09 11:22:46한화생명e스포츠, 몬스터 에너지와 신규 스폰서십 계약 체결
2025-04-09 11:14:15신세계면세점·네이버플러스 멤버십 맞손…“쇼핑지원금 쏩니다”
2025-04-09 11:11:19위믹스 재단, 위믹스 홀더 대상 간담회 4월11일 개최
2025-04-09 10:12:42저작권위원회, 창원지법과 업무협약…"경남 지역 분쟁 해결힌다"
2025-04-09 10: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