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성차업체와 직거래 사례 늘기도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글로벌 완성차업체를 중심으로 전기차(EV) 생태계가 조성되고 있다. 국내 배터리 3사는 북미와 유럽에 연이어 공장을 구축하면서 현지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소재 기업도 마찬가지다. 배터리 업체는 물론 배터리 내재화를 추진 중인 테슬라, 폭스바겐 등 완성차 업체 요청에 따라 해외 생산기지를 마련했거나 설립 준비에 돌입한 상태다.
16일 일진머티리얼즈는 스페인 카탈루냐주에 오는 2024년까지 5000억원을 투입해 연산 2만5000톤 규모 동박 공장을 건설한다고 밝혔다. 동박은 얇은 구리 막으로 음극재 원료로 쓰인다.
폭스바겐 프로젝트 일환이다. 앞서 일진머티리얼즈는 폭스바겐그룹이 스페인 정부와 운영하는 ‘Future: Fast Forward (F3)’ 컨소시엄에 참여한다고 발표했다. F3는 스페인을 유럽 EV 허브로 만들겠다는 게 골자다. 폭스바겐은 스페인 발렌시아에 배터리 기가팩토리를 세우기로 했다. 배터리 제조사가 아닌 완성차 업체와 직거래한다는 점에 의미 부여할 수 있다.
우리나라 배터리 소재사와 글로벌 EV 회사가 자체 계약을 맺는 사례는 또 있다. 완성차 업체의 배터리 업체와 협상력 강화 영향이다.
지난 3월 포스코케미칼은 제너럴모터스(GM)와 공동으로 캐나다 퀘벡에 양극재 공장을 짓는다고 발표했다. 양사는 작년 말 양극재 합작사(JV)를 설립한 바 있다. 두 회사 JV는 오는 2023년부터 1단계 투자(4억달러)를 집행할 예정이다.
그동안 포스코케미칼은 LG에너지솔루션과 GM의 배터리 JV인 얼티엄셀즈에 양극재 및 음극재를 공급해왔다. 양극재 JV를 통해 GM에 소재를 직접 공급하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포스코케미칼은 연내 유럽 신설 계획도 공개한다.
엘앤에프 SK넥실리스 솔루스첨단소재 등은 테슬라와 손을 잡았다. 테슬라는 미국과 독일 등에 배터리 생산라인을 구축하고 있다. 엘앤에프는 지난해 6월 미국 글로벌 전기차 기업과 양극재 판매를 위한 장기 계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상대방은 테슬라로 추정된다. 엘앤에프는 미국 생산거점을 확보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SK넥실리스는 테슬라에 동박을 납품 중이다. 테슬라를 비롯한 국내외 배터리 업체의 근거리 지원을 위해 폴란드 및 미국 공장 증설에 나선다. 각각 올해 2분기 착공, 연내 부지 선정 완료 예정이다. 이미 헝가리 공장을 보유한 솔루스첨단소재도 유사한 행보다. 테슬라와 동박 거래를 튼 데 이어 캐나다를 새 생산거점으로 찍었다. 솔루스첨단소재는 스텔란티스가 지분을 보유한 ACC에도 동박을 제공하기로 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과기정통부, 현대홈쇼핑·NS쇼핑 재승인 결정…2032년까지
2025-05-17 05:06:24알뜰폰 증가률 1%대 회복…1만원 5G 요금제 효과 가시화?
2025-05-16 17:40:35[현장] 서울 성수서 셀럽 사로잡은 ‘칼 라거펠트’ 철학…“한국 사랑 돋보이네”
2025-05-16 14:59:11SKT, 이번 주말 약 90만개 유심 확보한다…“QR 유심재설정 준비 중”
2025-05-16 11:09:11“엄마아빠, 저예요” LGU+, AI로 순직소방관 목소리 복원
2025-05-16 09:25:30이해진 네이버, 첫 해외 일정으로 실리콘밸리行…글로벌 AI 투자 본격 시동
2025-05-16 18:43:15"경찰도 전기자전거 구독"…스왑, 서울경찰청 시범 공급
2025-05-16 18:42:14NOL 인터파크투어, 항공권 취소·환불 수수료 무료 프로모션 진행
2025-05-16 17:32:09[DD퇴근길] "구글에 지도 반출하면 생태계 무너질 것"…스타트업, 한 목소리
2025-05-16 17:22:59아디다스 고객 정보 유출…"2024년 이전 고객센터 문의자 대상"
2025-05-16 17:22:14네이버, 디지털상공인 연합 기획전 진행…"소성공인과 동반 성장"
2025-05-16 16:5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