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강소현 기자]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넷플릭스가 가입자 감소에 결국 백기를 들었다. 넷플릭스는 광고 기반 요금제에 대한 반대 입장을 철회하고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넷플릭스의 최고경영자(CEO) 리드 헤이스팅스는 최근 1분기 실적 발표 직후 진행된 컨퍼런스 콜에서 “우리는 그것(광고요금제)이 효과가 있다는 것에 대해 의심하지 않는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동안 넷플릭스는 광고 요금제 도입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꾸준히 내비쳐왔다. 이용자들이 구독의 단순함을 선호한다고 여겨왔기 때문이다.
다만 이번 컨퍼런스 콜에서 이런 입장을 철회했다. 리드 헤이스팅스는 “요금제에서 다양한 선택지를 두는 것을 선호하는 이용자가 많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밝혔다.
광고 요금제 도입에는 최근 가입자 손실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관측된다. 올 1분기 기준 전 세계 가입자 수는 2억2164만명으로, 전 분기 대비 20만명 줄었다. 2분기에도 넷플릭스는 200만명의 가입자를 잃을 것으로 예측됐다. 이 가운데 리드 헤이스팅스는 더 많은 선택지를 두고 가입자 확보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광고 기반 요금제는 최근 여러 OTT에서 시도되고 있다. 파라마운트 플러스는 요금제를 광고가 포함된 에센셜과 광고가 없는 프리미엄 두 가지로 구성했다. 에센셜 요금제는 월 4.99달러로, 프리미엄 요금제(9.99달러)의 반값 수준이다.
HBO맥스도 광고 기반 요금제를 채택하고 있는 대표 OTT다. 광고 있는 요금제는 9.99달러, 광고 없는 요금제는 14.99달러다. 영국 민영방송 ITV의 경우 유튜브와 같이 광고를 볼 경우 무료로 이용 가능한 OTT 출시를 준비 중이며, 디즈니플러스도 광고를 보면 저렴하게 이용 가능한 요금제를 출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리드 헤이스팅스는 “광고를 보고 싶지 않은 고객에게는 계속 광고 없는 요금제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넷플릭스는 향후 가족 외 타인 간 계정 공유도 금지할 계획이다. 앞서 넷플릭스는 칠레와 코스타리카, 페루 등에서 가족 외 타인과 계정을 공유한 경우 추가요금을 지불하도록 하는 테스트 기능을 도입했다. 이용자는 수수료를 내고 최대 2개의 하위 계정을 추가할 수 있으며, 수수료는 3600원 수준이다.
넷플릭스의 최고운영책임자 그레그 피터스는 “1년여의 실험을 거쳐 이를 전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권력적 방송심의는 흉기…사업자 중심 자율심의가 시대정신”
2025-05-17 14:30:00[OTT레이더] ‘배구여제’ 김연경의 마지막 스파이크…생중계로 감상해볼까
2025-05-17 10:09:44과기정통부, 현대홈쇼핑·NS쇼핑 재승인 결정…2032년까지
2025-05-17 05:06:24알뜰폰 증가률 1%대 회복…1만원 5G 요금제 효과 가시화?
2025-05-16 17:40:35[현장] 서울 성수서 셀럽 사로잡은 ‘칼 라거펠트’ 철학…“한국 사랑 돋보이네”
2025-05-16 14:59:11이해진 네이버, 첫 해외 일정으로 실리콘밸리行…글로벌 AI 투자 본격 시동
2025-05-16 18:43:15"경찰도 전기자전거 구독"…스왑, 서울경찰청 시범 공급
2025-05-16 18:42:14NOL 인터파크투어, 항공권 취소·환불 수수료 무료 프로모션 진행
2025-05-16 17:32:09[DD퇴근길] "구글에 지도 반출하면 생태계 무너질 것"…스타트업, 한 목소리
2025-05-16 17:22:59아디다스 고객 정보 유출…"2024년 이전 고객센터 문의자 대상"
2025-05-16 17:22:14네이버, 디지털상공인 연합 기획전 진행…"소성공인과 동반 성장"
2025-05-16 16:5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