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방송

넷플릭스 장악한 OTT 시장…“플랫폼-콘텐츠 진흥할 통합부처 필요”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말로만 컨트롤타워가 아닌 K-OTT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국내 비즈니스 모델(BM) 및 해외진출을 완성할 부처개편이 절실하다.”

24일 한국미디어경영학회가 개최한 ‘OTT 시장 활성화와 산업 진흥 정책’ 특별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은 넷플릭스 등 글로벌 사업자가 장악하고 있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에서 국내 사업자들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미디어 정책을 통합할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이날 발제를 맡은 부경대학교 김정환 교수는 “현재 부처별 OTT 지원사업을 살펴보면 플랫폼 지원사업은 찾아보기 어렵다”며 “정책 당국의 플랫폼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하는 동시에 플랫폼에 대한 인식개선과 함께 로컬 사업자들이 글로벌 시장 진출 시 투자펀드 조성이나 해외인재 채용 등 다양한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하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박사도 “영상콘텐츠 유통환경의 변화와 영화·드라마 제작사 간 경계가 소멸되고 있다”며 “OTT 기반 콘텐츠에 대한 대응을 목표로 한 정책 방향성의 수립 및 정책체계가 마련돼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결국 콘텐츠-플랫폼(OTT) 동반 성장을 통해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국내사업자와 글로벌 사업자 간 공정한 경쟁 환경 마련을 위한 정책과 지원이 절실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희주 웨이브 정책실장은 “OTT나 미디어는 산업이기 이전에 문화”라며 “콘텐츠는 선별해서 가져올 수 있지만 플랫폼은 국내에 들어와 점령하고 있는 상황은 우려가 된다”고 말했다.

넷플릭스의 일본판 킹덤의 경우 제목에서부터 역사왜곡이나 번역오류 등 잘못된 정보로 소개돼도 이를 해결하거나 책임질 주체는 아무도 없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또, 구글의 인앱결제 등에 따라 OTT의 가격이 인상되는 등 현 정부도 플랫폼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 실장은 “윤석열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도 이같은 고민을 할 것으로 보이는데, 과거 프레임을 깨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며 “사업자들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겠지만 K-OTT 경쟁력 확보를 위한 조건이 만들어지려면 정부가 불확실성을 없애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황혜정 티빙 콘텐츠&마케팅 리더는 “제작비라든지 시스템 등 여러 정부 지원 정책에 있어서 훨씬 더 지금보다 속도를 낸다면 국내 OTT의 성장 타이밍을 잘 잡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카이스트 김민기 교수는 “온라인 콘텐츠 속성 상 국경의 의미가 사라지는 상황에서 국내 사업자의 해외진출 가능성이 높다는 측면에서 사업자 간 제휴를 염두에 둔 진흥정책 논의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며 “정부 부처나 정책 입안자들도 OTT 산업을 두고 ‘영상콘텐츠’라는 서비스 외형을 중심으로 단면적 밸류 체인 위에서 각 부처별 관할 업무 설정, 협의체 구성, 법적 지위 부여, 규제 범위 설정, 기금 마련 논의를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마찬가지로 이상원 경희대 교수도 “현재 가장 시급한 것은 콘텐츠와 플랫폼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정부의 통합된 미디어·ICT 정책 거버넌스 체계”라며 “동영상 OTT 산업에서 콘텐츠와 플랫폼 구분과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으나, 현재 정책 거버넌스는 관련 정부조직이 통합되지 못하고, 콘텐츠-플랫폼 갈등 구조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역설했다.

결국 현재처럼 콘텐츠와 플랫폼이 나눠질 경우, 진흥과 규제 정책도 분리될 가능성이 큰 만큼 통합되지 않으면 분명히 심대한 문제를 초래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는 “OTT플랫폼과 콘텐츠가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진흥정책으로의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선 OTT 플랫폼-제작사 간 협력·제휴를 조건으로 하는 지원과 콘텐츠 세액공제 확대, 펀드조성, 인력양성 등 다양한 정책수단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