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샌프란시스코=디지털데일리 박현영기자] 세계 최대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인 GDC(Game Developer Conference)는 본래 기업 대 기업(B2B)과 기업 대 소비자(B2C) 부스가 모두 마련된 행사로 알려져있다. 일반 이용자를 대상으로 게임을 선보이는 기업부터, 게임사를 대상으로 클라우드 등 소프트웨어를 서비스하는 업체까지. 게임 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기업이 한 데 모이는 자리다.
3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열린 이번 GDC 2022에도 B2B, B2C 부스가 모두 자리했다. 아마존웹서비스(AWS), 텐센트클라우드 등 게임사들을 위한 B2B 서비스 기업들은 대형 부스를 마련했다. 인디게임 존에는 수십개의 게임사들이 참가해 게임을 할 수 있는 체험 기기를 마련했다.
달라진 게 있다면 기존 웹 2.0에서 웹 3.0으로 패러다임이 바뀌었다는 점이다. 웹 3.0 게임을 만드는 기업부터 웹 3.0 게임을 위한 기반 기술을 제공하는 업체까지. 이전 GDC와는 다르게, 올해 들어 부상한 ‘웹 3.0’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기업들이 모였다.
웹 3.0이란 데이터가 분산화돼 저장되고, 데이터에 대한 소유권을 개인이 통제할 수 있는 차세대 웹 환경을 의미한다. 블록체인 기술의 부상과 맞물리면서 최근에는 ‘탈중앙화 웹’을 의미하는 용어로 통용되고 있다.
게임사들도 블록체인 위에 게임을 올리고, 아이템을 대체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NFT)로 제작하면서 웹 3.0 기반으로 나아가는 추세다. 이번 GDC 2022에서도 이런 현상이 그대로 반영됐다.
◆대규모 부스 내세운 위메이드…“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관심도 높아”
23일(현지시간) 열린 GDC 2022 엑스포 현장에서 가장 큰 규모를 내세운 웹 3.0 관련 부스는 위메이드의 부스였다. GDC 2022에 다이아몬드 등급 스폰서로 참여한 위메이드는 블록체인 플랫폼 ‘위믹스’를 홍보하는 대규모 부스를 마련했다. 위믹스 플랫폼에 관심있는 사람들뿐 아니라, 이미 위믹스를 기반으로 게임을 개발하기로 한 기업들도 부스를 찾았다.
이날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디지털데일리>를 비롯한 일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위메이드를 글로벌 무대에 알리고,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오해를 풀어야겠다는 생각으로 참여했는데 생각보다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위메이드 부스 옆에는 게임 엔진 개발사이자 역시 다이아몬드 등급 스폰서인 유니티의 부스가 자리했다.
현장에서 만난 유니티 관계자는 “블록체인 게임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이번 GDC에 와서 처음 봤다”면서 “그동안 볼 기회가 없어서 몰랐는데, 위메이드를 비롯해 웹 3.0 관련 부스들이 많아진 것을 보고 블록체인 게임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이렇게 많다는 사실에 놀랐다”고 전했다.
◆웹 3.0 게임용 인프라 인기…NFT 발행부터 회계처리까지
발표 세션은 실제 웹 3.0 게임을 출시한 기업들이 많이 맡았으나, 엑스포에는 웹 3.0 게임들을 위해 기반 기술을 제공하는 업체들이 많았다.
기존 웹 2.0 게임들이 블록체인 기술 및 NFT를 적용해 웹 3.0 기반으로 나아가려면 가상자산 지갑, 블록체인 플랫폼 등 관련 인프라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현장에는 블록체인 플랫폼 기업부터 NFT 발행을 위한 레이어2 플랫폼, NFT 발행용 API 서비스, 웹 3.0 게임을 위한 회계처리 서비스, 웹 3.0 게임을 위한 신원인증 서비스 등 수많은 관련 기업들이 자리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KT “AI로 392건 보이스피싱탐지, 160억원 피해예방 효과”
2025-04-07 10:12:28[인터뷰] “메시지 마케팅 시장, 지속 성장 중”...iM택시가 KT 택한 이유는?
2025-04-07 09:00:00SKT, AI 학습데이터 확보 온힘...’그랜드데이터’ 협력사 확장
2025-04-06 12:25:32’독점공개’ 전략 접은 KT…“OTT에도 지니TV 오리지널 콘텐츠 공급”
2025-04-06 12:20:00통합만 해왔던 미디어+ICT 거버넌스, 올바른 개편 방향은? [IT클로즈업]
2025-04-06 07:00:00머스크의 스페이스X, 8.6조원 규모 美 국방부 위성 사업 수주
2025-04-05 12:47:15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승승장구’…신규 설치 1위 中테무 제쳤다
2025-04-07 10:12:46[툰설툰설] 야구의 계절이 돌아왔다…'기프트' vs '리듬 앤 베이스볼'
2025-04-06 14:06:37[랜선인싸] 낮엔 의사, 밤엔 AI 크리에이터…'닥터포포'의 아트 세계
2025-04-06 12:22:16[콘텐츠뷰] '내가 죽기 일주일 전'…달콤쌉쌀한 인생의 다크초콜릿
2025-04-06 11:31:38[윤석열 파면] 막 오른 조기대선, 2030 표심에 ‘게임 공약’ 다시 부상하나
2025-04-05 12:46:43[윤석열 파면] "네이버·다음 프로필, 前 대통령"…페북·인스타 소개글은?
2025-04-04 18:2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