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4배 오른 반도체 가격…대형 투자 없이 수익성 증대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8인치(200mm) 반도체 수탁생산(파운드리) 사업이 미운 오리에서 백조로 거듭났다. 전 세계적인 반도체 공급난으로 몸값이 뛴 덕분이다. 감가상각이 진작에 끝난데다 제품 가격이 수배 오르면서 수익성을 극대화했다. 과거 구조조정을 통해 시스템반도체 부문을 넘긴 SK하이닉스와 산업은행의 사전적 구조조정으로 매물로 나왔던 DB하이텍은 행복한 비명을 지르고 있다.
24일 SK하이닉스에 따르면 파운드리 자회사 SK하이닉스시스템아이씨는 2021년 매출액과 당기순손익이 각각 6999억원, 1976억원을 기록했다. 2020년(매출 7030억원, 당기순손익 933억원) 대비 매출은 소폭 감소했으나 당기순손익은 2배 이상 증대했다.
작년 매출이 줄어든 건 사업장 이전 때문이다. SK하이닉스시스템아이씨는 2020년 1분기 중국 우시 공장을 준공했다. 충북 청주 M8 공장의 200mm 설비를 중국으로 옮기기로 했다. 최근 관련 작업이 마무리된 것으로 전해진다. 이 과정에서 생산라인 일부가 가동되지 않으면서 매출이 하락한 것이다.
그럼에도 파운드리 단가가 급증하면서 수익성은 큰 폭으로 개선됐다. 주로 200mm 웨이퍼로 제작되는 ▲전력관리반도체(PMIC)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등은 수요공급 불균형으로 가격이 대폭 상승했다. 특정 제품의 경우 8배까지 비싸진 것으로 전해진다.
우시 공장 생산능력(캐파)은 월 11만5000만 수준으로 추정된다. 전체 라인이 정상 가동되기 시작하면 추가 투자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올해 실적이 더욱 기대되는 지점이다.
SK하이닉스는 키파운드리 인수 절차도 진행 중이다. 이 회사는 매그나칩반도체에서 분할됐다. 과거에는 하이닉스반도체 소속 사업부였다. 결과적으로 17년 만에 SK하이닉스 품으로 돌아오게 됐다. 현재 키파운드리 캐파는 월 9만장 내외다. SK하이닉스는 월 20만장을 상회하는 8인치 캐파를 갖추게 된다. 삼성전자(월 30만장 이상)에 이은 국내 2위 수준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IT클로즈업] 저궤도위성통신 시장 개막 ‘코앞’...韓, 공급망 진출 정조준
2025-04-27 12:00:00[OTT레이더] '폭싹' 순정남 이준영의 변신, 넷플릭스 ‘약한영웅 Class 2’
2025-04-27 11:30:41‘원조 요정’ 성유리, GS샵으로 전격 복귀…‘성유리 에디션’ 론칭
2025-04-27 10:00:43[툰설툰설] 각자의 공간, 피어나는 사랑…'이섭의 연애' vs '청춘 러브썸'
2025-04-27 13:37:41크림 리퍼비시 서비스, 올 1분기 거래량 63%↑…중고 테크 소비 ‘쑤욱’
2025-04-27 12:32:58주목받는 추억의 IP, 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도 통할까
2025-04-27 11:09:18구글 모회사 알파벳, 1분기 '깜짝 실적'…광고 부문 성장 견인
2025-04-25 17:09:06경주 개관 미디어아트 전시관, '덱스터' 자회사가 만든다
2025-04-25 16:39:44[콘텐츠뷰] "겹사돈·전공의 미화 논란?"…정면돌파 택한 '언슬전생'
2025-04-25 16: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