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e비즈니스

[인터뷰] 카카오모빌리티 미래기술 3인방 “디지털트윈 원년, 정밀지도 핵심 축이죠”

왼쪽부터 홍승환 카카오모빌리티 디지털트윈 테크 리더, 장성욱 미래이동연구소장, 박창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 테크 리더. ⓒ카카오모빌리티
왼쪽부터 홍승환 카카오모빌리티 디지털트윈 테크 리더, 장성욱 미래이동연구소장, 박창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 테크 리더. ⓒ카카오모빌리티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넥스트 모빌리티’를 준비하기 위해 자율주행 등 미래 이동기술 발굴에 집중한다. 이와 관련 카카오모빌리티는 올해를 기계를 위한 디지털트윈 제작 원년으로 삼고, 고정밀지도(HD맵) 고도화에 역량을 쏟는다.

이와 관련 <디지털데일리>는 지난 10일 카카오모빌리티 첫 테크 컨퍼런스 ‘넥스트 모빌리티(NEXT MOBILITY) : NEMO 2022(이하 NEMO2022)’ 현장에서 진행된 개발자 인터뷰에서 홍승환 카카오모빌리티 디지털트윈 테크 리더, 장성욱 미래이동연구소장, 박창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 테크 리더를 만나 디지털트윈과 HD맵 개발 현황을 살펴봤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올해 매진하는 디지털트윈은 2차원 도로 네트워크를 넘어 기계‧시스템‧인프라에 필요한 3차원 도로정보와 같은 현실세계 공간정보를 디지털화하고 기계가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재해석해 경로계획 등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정밀 도로 지도는 전기차, 자율주행 등 도로 위에서 인지‧판단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인공지능(AI)에게 현실 세상을 이해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된다.

카카오모빌리티가 HD맵에 주목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자율주행에 있어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지도는 반드시 필요하다.

장성욱 소장은 “사람이 보는 지도 관련 현재 기술은 굉장히 고도화됐으나, 기계‧로봇‧자율주행차‧도심항공교통(UAM) 등이 이해할 수준의 지도가 되려면 이보다 더 정확해져야 한다”며 “이것의 핵심이 고정밀지도(HD맵)이라고 생각하고, 굉장히 많이 투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창수 리더는 “자율주행을 하면 주변물체를 인식하고 어떻게 주행할지 판단해야 하는데, 정밀지도가 있으면 이러한 연산량을 낮춰 현재 위치와 도로 정보를 더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며 “HD맵은 결국엔 누군가는 구축해야 하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고정밀 HD지도 제작 스타트업 ’스트리스‘를 인수, 디지털 트윈 관련 기계를 위한 지도 제작에 착수했다.

스트리스 최고기술책임자(CTO) 출신 홍승환 리더는 “올해 상반기 파트너와 협업하면서 데이터 포맷 등 여러 핵심 기술을 좀 더 탄탄하게 만들고, 내년에 구축 범위를 늘리면서 디지털트윈을 확장할 것”이라며 “디지털트윈을 만들기 위한 3차원 데이터 3000km(서울) 이상 구축 등 원천데이터는 확보했으나, 이를 좀 더 탄탄하게 만드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서울 시내 주요 도로 약 3000km를 포함해 국내 도로 총 1만1000km에 대한 디지털트윈 구축을 완료했다. 연내에는 국내 자율주행 운행 가능 7개 지구 전역에 대해서도 디지털 트윈 구축 완료를 목표로 한다.

또한,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모빌리티 측위센서와 시공간 동기화 기술로 디지털 트윈을 생성하는 모바일 맵핑 시스템(MMS)을 통해 HD맵 구축 비용과 시간을 최대 5분의 1수준으로 효율화했다.

장 소장은 “HD맵을 확장하면 UAM과 물류 자동화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며 “모두 다 가보지 않은 길이지만, 카카오모빌리티가 자체적으로 구축하면서 파트너사에도 확장할 수 있다”고 전했다.

한편, 카카오모빌리티는 디지털트윈 기반 데이터 분석과 수요 예측 등을 통해 파트너사 혁신을 돕고 각종 데이터와 정보를 파트너 AI에게 공유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카오모빌리티는 자사 서비스에 내재화한 핵심 기술을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형태로 제공하기로 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