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박현영기자] ‘카카오 패밀리’에 합류한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플랫폼 ‘보라’가 보라 2.0을 선언하고, 클레이튼과의 연동을 강화한다. 클레이튼은 카카오의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보라는 8일 ‘보라 2.0 파트너스데이’를 열고 클레이튼과의 연동을 강화하기 위해 거버넌스카운슬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거버넌스카운슬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 생성에 참여하는 노드 그룹으로, 클레이튼 역시 거버넌스카운슬에 의해 가동되는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보라 역시 클레이튼처럼 거버넌스카운슬을 운영하기 위해 블록체인의 합의알고리즘을 기존 권한증명(PoA)에서 실용적비잔틴장애허용(PBFT)으로 변경했다.
또 발행량이 정해져있던 보라 토큰(BORA)의 토큰이코노미를 인플레이션율에 맞춰 발행량을 늘려나가는 동적인 토큰이코노미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또 토큰 소각 모델을 도입해 발행량을 늘리면서도 가격이 떨어지지 않게 조절한다는 계획을 전했다.
◆클레이튼 방식 '거버넌스 카운슬' 구축
보라는 지난 2018년 출범한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플랫폼이다. 클레이튼의 서비스 파트너이기도 했으나, 지난해 보라 개발사 ‘웨이투빗’이 카카오게임즈 자회사 프렌즈게임즈와 합병되면서 클레이튼과의 연결고리가 더욱 강해졌다.
이에 지난해 보라는 기존 이더리움에서 클레이튼으로 기반 플랫폼을 전환했다. 클레이튼이 레이어1 블록체인 플랫폼이며, 보라가 레이어2 플랫폼으로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들을 끌어들이는 형태다.
클레이튼과의 연결고리를 더욱 강화하는 방법 중 하나가 거버넌스카운슬 구축이다. 카운슬에 합류한 파트너사들이 블록을 생성하는 ‘클레이튼식’ 방식으로 나아가겠다는 전략이다. 또 보라 플랫폼의 확장성을 더욱 늘리는 전략이기도 하다.
이날 파트너스데이 발표를 맡은 임영준 보라 CBO는 “보라는 2018년 출범 때 프라이빗 체인의 성격을 갖고 있었다 보니 다양한 참여자를 끌어들이는 데 제한이 있었다”며 “거버넌스카운슬을 구축해 플랫폼의 건강한 성장을 모색하는 구조로 전환했다”고 말했다. 이어 “콘텐츠 서비스에 최적화된 블록체인 플랫폼을 지향하며, 다양한 게임사 및 콘텐츠 기업들과 논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보라 거버넌스카운슬에는 유명 기업들이 다수 합류했다. 우선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선 국내 1위 다중채널네트워크(MCN)인 샌드박스네트워크를 비롯해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콜랩아시아 ▲레전더리스(legendaries) 등이 참여한다.
게임 분야에선 ‘카카오 패밀리’인 카카오게임즈, 프렌즈게임즈는 물론 ▲라이온하트스튜디오 ▲네오위즈 ▲넵튠 ▲엑스엘게임즈 ▲모비릭스 ▲위메이드 ▲해긴 등이 합류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퇴근길] 카카오엔터 매물로?…노조 반발에 카카오 대답은
2025-04-09 17:07:20조기대선 통신정책 향방은?...단통법 후속조치·통신비 인하 ‘촉각’
2025-04-09 15:42:48딜라이브, 지자체 행사사업 BM 키운다…전남 진도 지역행사 수주
2025-04-09 10:35:13SKT, AI 스타트업 양성 프로그램 실시…“성장 기업과 협력 기회 모색”
2025-04-09 09:44:51[DD퇴근길] '갤럭시S25' 통했나?…삼성전자, 1Q 어닝서프라이즈
2025-04-08 17:24:16라인망가, 日 앱마켓 매출 1위…‘여신강림’, ‘연애혁명’ 드라마 러브콜도↑
2025-04-09 17:53:48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이용자 초청 ‘프리뷰 데이’ 24일 개최
2025-04-09 17:07:34[DD퇴근길] 카카오엔터 매물로?…노조 반발에 카카오 대답은
2025-04-09 17:07:20네이버플러스 멤버십 만족률, 쿠팡·컬리 앞질렀다…1위 비결은?
2025-04-09 16:07:18스마일게이트, ‘2025 로스트아크 아트 공모전’ 응모 시작… 총 상금 5500만원
2025-04-09 15:3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