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는 2일 ‘2022년도 과학기술·ICT 분야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을 확정하고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 예산 5조491억원, 정보통신방송기술(ICT) 분야 연구개발에 1조3736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5조7511억원) R&D 예산 대비 약 11.6% 증가한 수치다. 또, 여기에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직할출연기관 연구운영비 등은 제외됐다.
올해는 국가 간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기술혁신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미래 기술강국으로 도약하고 디지털 대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3대 분야 11대 중점 투자방향을 설정했다.
우선 탄소자원화, 이차전지 등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필요한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양자기술, 첨단 바이오 등 혁신성장을 견인할 핵심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지원을 확대한다. 단계도약형 탄소중립기술개발에 150억원, 양자컴퓨팅기술개발에 114억원, 바이오의료기술개발에 2438억원 등이 투입된다.
또, 올해 하반기 누리호 2차 발사를 병행하면서 발사체 고도화에 1727억원을 지원하고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73억원)에 착수해 우주 핵심기술을 확보한다.
AI·지능형반도체·6G·사이버보안 등 디지털 필수전략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R&D지원도 올해 1678억원으로 확대됐다. 6G핵심기술개발에 307억), PIM 인공지능반도체 핵심기술개발에 210억이 새롭게 투입된다.
이밖에 민‧관 협력기반 ICT 스타트업 지원 확대, 미디어 특화 기업육성 신설 등 디지털 대전환을 견인할 유망 ICT 스타트업을 육성을 강화하는 한편, 연구자 중심의 기초연구를 확대를 위해 2조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미래 유망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AI대학원 10개에 각 대학(원)별 2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지역 R&D 혁신을 위한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에는 82억50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번에 확정된 종합시행계획에 따라 신규 사업·과제별 추진일정을 1월 3일자로 공고했으며, 오는 25일 온라인 정부 연구개발사업 부처합동설명회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 과제 공모 시기, 절차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통신 이용자정보 조회도 ‘영장주의’...국회 여야 평행선에 논의 ‘답보’
2025-02-25 16:51:20콘텐츠가 한눈에…케이블TV VOD 플랫폼 '오초이스' 재단장
2025-02-25 13:55:29[DD퇴근길] 5G, 진짜 가입자는?…정부, 단말기준 집계 방식 바꿀까
2025-02-24 17:19:32진짜 ‘5G 가입자’ 몇 명?…정부, 가입자 집계 기준 변경 검토하나
2025-02-24 16:33:20적자폭 줄인 티맵모빌리티, 우티 이어 전동킥보드도 접는다
2025-02-25 17:48:34SK스퀘어, 작년 영업익 3조9126억원 ‘사상최대’...매출은 전년比 16.2%↓
2025-02-25 17:29:51[DD퇴근길] "오픈AI 올라타자"…韓 AI 동맹전선 윤곽 언제쯤?
2025-02-25 17:28:05조국혁신당 ‘디지털권 보장’ 정책 제안…“‘개인정보 대시보드’로 이용자 보호 강화”
2025-02-25 16:49:53마크비전 “지난해 위조상품·불법 콘텐츠 5041만건 제재”
2025-02-25 15:26:08